4·15 총선 결과를 놓고 신지역주의 논란이 일고 있다.과거처럼 특정 정당이 한 지역을 싹쓸이하는 극심한 지역 대결 구도 대신, 여당인 열린우리당과 야당인 한나라당이 동서 지역을 양분하는, 새로운 형태의 지역 구도가 모습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특히 이같은 '여서야동(與西野東)'형 신지역주의는 탄핵을 둘러싼 친노·반노 세력간 대립 및 진보 대 보수라는 이념적 색채까지 가미돼 한층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시·도별 판세를 보면 열린우리당은 호남(31석)에서 25석, 충청(24석)에서 19석을 차지하는 등 호남·충청권 전체 의석(55석) 중 80%에 이르는 44곳을 석권했다. 전북(11석) 광주(7석) 충북(8석) 대전(6석)에선 아예 우리당이 지역구를 독식했다.
우리당이 3김의 퇴장과 함께 호남·충청을 전통적 지지기반으로 삼아온 민주당과 자민련의 아성을 깨고, '지역 맹주'로 자리잡은 셈이다.
한나라당도 TK출신인 '박근혜 대표 효과' 및 '박정희 향수'를 등에 업고 상대적으로 보수적 성향이 강한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 등 영남지역 68개 지역구 중 60곳(88%)을 차지했다.
선거구가 12석인 대구에선 한나라당 후보들이 전승을 거뒀다. 우리당의 압도적인 우세가 예상됐던 강원 역시 선거 종반에 불어닥친 '박풍(朴風)'과 '노풍(老風)' 등에 힘입어 한나라당이 8석 중 6석을 확보하면서 동부 벨트를 장악했다.
한 관계자는 이같은 정치 지형과 관련, "일부 정당의 경우 지역주의를 정치적 자원으로 활용하고 싶은 욕구를 갖기 마련"이라며 "그러나 어떤 형태의 지역주의이든 결코 지역 주민들의 이익과 요구를 효과적으로 대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박정철기자 parkjc@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