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이 중반전에 접어드는데도 선거전의 중심이어야 할 정책대결은 실종됐다. 유권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이벤트와 이미지 정치만 기승을 부릴 뿐, 이성에 호소하는 정책제시는 찾아보기 힘들다. 외환위기(IMF) 때보다 더 어렵다는 민생, 전 세계의 회복 조짐에도 유독 우리만 터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경제, 국가발전전략과 직결된 교육, 북한 핵 해법이 걸린 남북문제 등 쟁점이 산적해 있지만 차별화된 정책제시는 보이지 않는다.민생문제를 해결한다고 재래시장을 찾고 택시나 타서 될 일인가. 주요 정당이 당사를 공판장이나 천막으로 옮긴다고 해서 부정부패와 썩은 정치가 바로잡아질 수 있을까. 탄핵소추 의결을 사죄한다고 시민단체 흉내를 내 '삼보일배' 행진을 하는 게 과연 옳은 선거운동인가.
그러다 보니 각 정당이 내놓은 공약은 허황되기 짝이 없다. 재원이 뒷받침되고 실현 가능성이 검증된 것보다는 즉흥적이고 인기 영합적인 게 많다. 청년실업 대책으로 내놓은 공공부분 일자리 창출 공약이 대표적이다. 청년실업의 근본원인인 '고용없는 성장'에 대한 대책 마련보다는, 국민의 세금으로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안이한 발상뿐이다. 새 일자리도 경찰 소방관 교사 사회복지사 국제정보화 평화봉사단 등이 고작이다.
총선은 지난 4년간의 의정활동을 평가하고 앞으로의 4년을 어느 정당과 누구에게 맡길 것인가를 결정하는 의식이다. 선택이 정책과 인물 기준으로 이뤄져야 함은 당연하다. 각 정당은 지금이라도 선거를 정책대결로 이끌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공중파 방송이 마련할 정책토론회와 주요 인사들의 선거관련 토론회 등이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상대의 실수를 바라고 반사이익이나 노린대서야 어찌 공당이라 할 수 있겠는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