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 80년대 민주화운동을 이끌었던 종교계의 대표적 두 인권단체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 인권위원회와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사제단이 나란히 30주년을 맞아 다양한 기념사업을 펴고 변신을 시도한다.1974년 4월11일 발족한 KNCC 인권위는 4월29일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열리는 기념식에서 한국교회평화인권센터로의 전환을 선언한다. 독자적인 조직을 갖춤으로써 KNCC 산하 위원회라는 한계를 탈피, 자율적인 활동을 하겠다는 뜻이다. 인권 상담, 인권 교육, 국내외 인권침해에 대한 대처, 해외 인권단체와의 협력 등 기존 활동을 계승하되 이사회, 운영위원회 그리고 별도의 사무국을 둠으로써 활동을 더 체계적이고 활발하게 전개할 계획이다.
문장식(68·상석교회 목사) 위원장은 "과거에는 강압적인 정권과 맞서면서 대정부 투쟁에 치중했으나, 이제는 사회변화에 따라 생명평화와 반전, 사형폐지운동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며 "장애인, 이주노동자, 양심적 병역거부자 등의 인권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인권위원회는 22일 서울 종로구 연지동 한국기독교회관 앞마당에서 박형규 목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민주화·인권운동 상징장소'를 알리는 동판 제막식을 가졌다. 인권위는 30주년 인권운동을 정리하고 평가하는 '한국교회인권운동 30년사'도 발간한다.
1974년 9월26일로 탄생 30주년을 맞는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사제단은 기념사업으로 추석을 전후해 남북한을 비롯해 미국, 일본, 러시아, 중국 등의 천주교 단체가 참가하는 한반도 평화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각국의 천주교회가 중심이 돼 북한 핵문제와 6자 회담 등 한반도 주변의 긴박한 상황을 점검하고, 평화정착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민주화와 인권회복 등에 매진한 지난 세월을 정리하는 자료집과 다큐멘터리 제작도 추진중이다. 이를 위해 문규현 신부를 위원장으로 하는 '30주년 기념위원회'를 구성했다.
두 단체가 발족한 74년은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사건과 긴급조치의 발동, 인혁당 재건위 사건 등이 잇따라 일어나면서 민주주의가 유린된 해였다. 교수와 기자의 해직 등 인권도 짓밟혔다. 두 단체는 신앙의 힘으로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려 했다. KNCC 인권위는 목요기도회를 통해 불의에 항거하고, 양심수 석방운동을 폈으며 박해받는 이들의 아픔을 위로했다. 초창기 인권위에는 이해영 조남기 박형규 목사와 함석헌 선생, 윤보선 전 대통령, 공덕귀 이태영 여사 등이 주로 활동했다. 인권위는 윤석양 이병의 국군보안사 민간인 사찰 폭로에도 크게 기여했다.
한편 목요기도회에 참가하던 함세웅 문정현 문규현 김승훈 신부 등은 긴급조치 1·4호 위반 혐의로 끌려간 지학순 주교의 석방을 요구하며 그 해 정의구현전국사제단을 결성했다. 함세웅(62) 제기동성당 주임 신부는 "민주주의를 외치던 학생과 지학순 주교가 끌려간 것을 보고, 인혁당 사건 가족 등 억울한 사람을 만나면서, 불의한 권력을 타파해야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실천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회상했다.
사제단은 87년 박종철군 고문치사사건의 실상을 고발하고 고문 추방 운동에 나섰으며, 재작년 미선이 효순이 사건이 발생했을 때는 장기 단식을 통해 국민적 분노를 이끌어냈다. 함 신부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사제단의 역할도 바뀌고 있지만 교회 안팎의 불의한 제도와 시대착오적 관행을 타파하고 인간중심의 삶을 찾아야 한다는 생각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박광희기자 kh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