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사막화에 따른 황사문제가 우리에게 점점 위협적으로 다가오고 있다. 중국정부의 통계에 의하면 매년 2,500㎢, 즉 서울 면적의 4배에 해당하는 지역이 사막으로 변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고 한다. 이 추세가 계속된다면 한국도 황사는 물론, 사막화의 재앙에 직면하지 않는다고 장담할 수가 없는 실정이다.23일 환경부의 업무보고에서 고건 대통령권한 대행이 황사문제를 거론하면서 국제기구를 통한 대책강구를 촉구한 것은 시의적절하다. 마침 다음 주 제주에서는 아시아지역 최초로 유엔환경계획(UNEP) 연차총회 및 세계환경장관 회의가 열린다. 전 세계에서 150여개국 환경장관을 포함하여 1,000여명의 대표가 참가할 이번 회의에서 동북아 지역의 사막화와 황사 문제는 중요한 토론주제다. 전문가들의 연구실적 발표와 함께 해당 지역국가와 UNEP차원의 협력방안 등이 심도 있게 논의될 예정이다.
이미 한·중·일 3국은 환경장관회의를 통해 협력의 틀을 만들었으며, 정부와 민간단체가 참여하는 나무심기 사업이 펼쳐지고 있다. 그러나 이 정도의 국제협력은 상징성 정도에 불과하다. 동북아 사막화 방지는 중국뿐 아니라 몽골까지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웃 국가들이 나무심기에 참여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일은 당사국의 토지이용 방식이다. 즉 사막화를 예방하겠다는 의지가 확고해야 하며 그 결과가 토지이용제한으로 나타나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중국은 아직 갈 길이 아득하다.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동북아 사막화 및 황사문제를 적극 개진해 국제적 이슈로 부각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UNEP로 하여금 실질적인 황사대책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개최국으로서의 영향력을 십분 발휘해야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