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시대 소련 봉쇄정책(Containment Policy)의 아버지로 불린 미국의 역사학자 조지 케넌(George F. Kennan)이 지난 주 100세가 됐다는 소식이 국내 언론에 스치듯 비쳤다. 1946년 모스크바 주재 대리대사 때 워싱턴에 보낸 장문의 정세분석전문(long telegram)에서 소련 봉쇄를 주창, 전후 미국의 냉전 전략을 이끌었다는 상식을 되뇌는 수준이다. 그러나 역사적 인물의 진면목을 아는 것은 오늘 우리의 처지를 올바로 인식하는 데도 도움될 것이다.결론부터 말해 조지 캐넌은 자신의 구상을 벗어난 군사적 봉쇄정책이 냉전 대결을 부당하게 장기화했다고 줄곧 비판했다. 이 때문에 워싱턴 주류에서 소외된 채 비판적 학자로 생의 후반 50년을 살았다. 국제 문제를 역사의 큰 틀에서 보는 예지(叡智)로 두 차례 퓰리쳐 상과 여러 평화상을 받으며 냉전시대의 현인(賢人)으로 평가된 그를 네오콘, 신보수주의의 원조 정도로 오해하는 것은 실로 역사적 아이러니다.
프린스턴 대에서 러시아를 공부한 캐넌은 미국이 1933년 소련과 수교하기 전 베를린과 라트비아에서 소련을 살피는 임무를 수행한 최고의 러시아 전문가였다. 그의 유명한 전문은 워싱턴 요로에 회람돼 센세이션을 불렀고, 그는 국무성 정책기획실장에 발탁됐다. 그러나 정부가 군사적 봉쇄에 치중하자 갈등을 거듭하다가 52년 모스크바 주재 대사를 끝으로 야인이 됐다.
그는 뒷날 저서 '세기말의 회고'(At A Century's Ending) 등에서 8,000 단어의 긴 전문은 미국이 주도한 국제통화기금 참여를 소련이 거부한 이유를 묻는 국무성의 무지에 답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2차 대전 승리로 한껏 고양된 소련은 이념적 침투로 영향력을 확대할 욕심이고, 이념적 토대가 다른 경제 분야에서 미국의 주도를 따를 리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서유럽과 일본 경제와 자신감을 회생시켜 공산이념 침투를 막고, 소련의 무모함을 인식시켜 전후 문제 타협을 유도하는 정치적 봉쇄를 제안했다는 것이다.
그의 제안은 마샬 플랜으로 구현됐다. 그러나 정치적 타협을 통한 독일과 유럽 분단 해소는 미국과 서유럽, 아데나워의 서독도 원치 않았다. 이들은 오히려 소련의 군사적 위협을 과장, 나토(NATO) 동맹을 조직했다. 캐넌은 서독을 동맹에 묶는 것은 분단을 고착시킨다고 반대했으나 쓸모없었다.
일본과 한반도에 대한 캐넌의 회고도 같은 맥락이다. 그는 맥아더의 당초 의도처럼 일본의 영구 비무장중립을 구상했다. 이는 일본을 군사기지로 삼지 않는 것이고, 이렇게 하면 소련도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타결에 동의할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49년 말부터 갑자기 소련의 3차 대전 도발이 임박했다는 근거 모를 위기론과 무기한 일본 주둔론이 워싱턴에 유포됐다. 이에 맞서 소련은 일본의 미국 기지화에 대한 지정학적 보상으로 한반도 입지를 강화하려 했고, 공교롭게도 미국은 한반도에 관심없는 듯 행동했다. 이 것이 캐넌이 보는 한국전쟁의 기원이다. 그는 미국의 의문스런 행동의 바탕은 소련과의 타협에 뒤따를 일본 철수를 원치 않은 때문이라고 보았다.
냉전 전략에 정통한 그의 회고는 오늘의 한반도 상황에도 교훈적이다. 북한 핵 위기를 북한의 위협이란 냉전적 틀을 벗어나, 전략적 이해다툼의 역사적 맥락에서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미국에게 북한 핵 위협은 일본의 군사기지 역할과 한미 동맹 유지에 도움된다는 분석과, 이 때문에 미국은 북한 핵 위협을 과장하면서도 조속한 해결과 북한의 붕괴 모두를 원치 않는다는 지적은 결코 황당무계한 게 아니다.
2차 6자 회담을 앞두고 객관적 전문가들이 북한 문제는 결국 남북한이 주도적으로 풀 수 밖에 없다는, 언뜻 이상론에 불과한 충고를 되풀이 내놓는 연유를 진지하게 헤아려 보아야 한다.
강 병 태 논설위원 btk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