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구단에 대한 서울 연고 이전의 물꼬가 트였지만 연고구단 선정 주체 및 분담금을 둘러싼 논쟁이 가열되는 등 여전히 풀어야 할 난제가 산적해 진통이 예상된다.서울시, 대한축구협회, 프로축구연맹으로 구성된 서울연고 프로축구단 창단추진위원회는 7일 4차 회동을 갖고 '기존 구단의 서울 이전 허용'에는 합의했지만 연고 구단 선정 주체를 놓고 시와 연맹이 한치의 양보 없는 줄다리기를 벌인 끝에 결론을 도출하지 못하고 모임을 끝냈다.
서울시냐, 연맹이냐(연고 선정 권한)
프로연맹 김원동 사무국장은 "연고지 이전은 연맹의 고유 권한으로 서울시가 주도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서울시가 프로야구, 프로농구팀들의 서울 이전은 관여하지 않더니 유독 축구에만 자신들의 입장을 강요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서울시는 "'서울'이라는 브랜드명을 쓰고 월드컵경기장 소유권이 시에 있는 만큼 연고구단 선정은 우리의 권한"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 서울시는 당초 방침대로 11일까지 이전 의향서를 받은 뒤 서울연고팀 선정위원회를 구성, 이 달 안에 우선협상대상 구단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반해 연맹은 시한이 촉박한 관계로 연장이 불가능하다면 독자적으로 연고 이전 의향서를 받겠다고 밝히는 등 팽팽히 맞서고 있다.
50억원이냐, 150억원이냐(권리금)
연고 구단 결정주체와 함께 서울 연고 권리금을 둘러싸고 협회와 서울 연고 이전을 신청한 안양LG가 갈등을 빚고 있다. 안양은 지난해 9월2일 문화관광부 주관회의에서 서울월드컵경기장 건설비 분담금 250억원 중 협회 100억원, 서울시 100억원, 창단기업 50억원이라고 최종 합의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협회는 지난해 10월13일 서울시의회서 협회가 최소한의 성의를 표시해달라는 요청에 따라 월드컵 잉여금 중 100억원을 '대납했을 뿐'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분납'이냐 '대납'이냐를 놓고 안양과 협회의 첨예한 의견 대립으로 K리그 개막(4월3일) 전까지 서울 연고 이전 작업이 매듭지어질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서울 연고 이전을 둘러싸고 서울시, 협회, 연맹, 안양 등 모두 '동상이몽'에 빠져 있어 상암구장의 주인 찾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여동은기자 deyu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