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대선자금을 둘러싼 혼란이 정치개혁의 당위성을 확인하는 가운데 물갈이 주장이 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주장의 배후에 소장파들의 세대교체 요구가 숨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당내 주도권 장악을 노린 정치적 이해관계가 깔려 있을 수 있다. 동기야 어쨌든 물갈이가 정치개혁의 주요 부분으로 등장한 것은 거역할 수 없는 하나의 흐름이 되고 있다.모순투성이 정치판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과 이를 위해 제도적 개선 못지 않게 인적쇄신이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돼가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잘못된 관행에 대해 책임이 있거나, 정경유착의 부패구조와 지역을 볼모로 한 퇴행적 정치행태에 안주했던 인사들은 거취를 분명히 할 때가 됐다고 본다. 인적쇄신은 선거라는 제도적 장치를 통해 이뤄지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 하지만 정당은 공천과정에서 일차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총선을 앞두고 물갈이 주장이 나오는 것은 의례적인 현상이지만, 이번의 경우는 시대적 화두가 돼버린 정치개혁과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배가시키고 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에선 소장 의원들을 중심으로 과거 청산의 의미에서 다선 중진 용퇴론이 나오고 있다. 다선 중진이라고 해서 무조건 쇄신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오래 할수록 때가 많이 묻었을 확률이 크다는 것은 상식이다. 열린우리당은 영입과정에서부터 수범을 보이겠다는 자세를 보이고 있어 지켜볼 일이다.
각 정당은 내년 4월 총선의 승패가 어느 당이 얼마나 참신한 인물을 공천하느냐에 달려 있음을 알아야 한다. 새 정치를 바라는 국민은 정치개혁의 가능성을 새로운 인물에서 찾으려 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를 외면할 경우, 처절한 심판이 기다리고 있음을 각 당은 명심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