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라크 추가 파병시 독자작전을 수행하며 치안유지에 비중을 두기로 급선회 함에 따라 베트남전 이후 최대 규모의 파병부대는 보병(전투병) 위주로 구성되고, 공병과 의무병 등은 소수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졌다.차영구 국방부 정책실장은 11일 브리핑을 통해 "공병·의무병 중심의 기능부대보다는 이라크 내 치안유지 소요가 많다"면서 "우리 군의 입장에서도 공병과 의무진을 대규모로 파병할 여력이 없다"고 분명히 했다. 국방부는 지금까지 공병 등 재건지원군 성격의 기능부대 중심으로 파병부대를 구성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내비쳐왔다.
정부가 구상하는 치안유지 병력은 보병(전투병)이 중심이 된다. '경보병'은 지난 9월 초 미국이 최초로 한국에 추가파병 요청을 하면서부터 일관되게 고수해온 파병 조건이었다.
현재 소요 진압 및 적 침투 저지 임무를 맡고 있는 특공여단과 과거 동티모르 상록수부대로 파병돼 치안유지와 민사작전 임무를 수행했던 특전사 병력 등이 1순위로 꼽힌다. 정부는 파병부대에서 '전투병'의 성격을 탈색하기 위해 공병 등 기능부대를 어느정도 포함시키겠지만 전체 병력의 최소 3분의2 이상은 보병이 될 게 확실하다.
파병부대의 규모에 대해 차 실장은 "현재 숫자를 댈 수는 없으며, 파병부대의 성격이 최종적으로 정해지면 그 임무에 맞춰 숫자를 정하는 게 순서"라고 말했다. 그러나 파병과 관련한 정부 내의 전반적인 기류가 미국의 요청을 전적으로 수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규모는 미국의 희망대로 5,000명 이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차 실장은 비전투병 중심의 3,000명 수준 파병으로 굳어지던 분위기가 갑자기 뒤바뀐 배경에 대해 "군사적인 측면이나 인도적 면에서 우리가 책임지역을 맡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정부 내에 형성되고 있다"고 답했다.
/김정호기자 azur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