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5일 인천에 대한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완료한 데 이어 24일 부산·진해와 광양만권에 대해서도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확정함에 따라 동북아 경제중심(허브) 계획에 본격적인 시동에 걸렸다.계획된 사업이 본격화할 경우 2020년까지 고용유발 효과만 796만명, 생산유발 효과는 512조원, 외자유치는 551억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경제성장률을 매년 1.5∼2.0%씩 올리고, 실업률을 0.5%정도씩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들 경제자유구역별 특징을 보면 인천이 공항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반면 부산·진해와 광양만권은 항만물류가 핵심이다. 또 인천이 수도권의 질 좋은 인력과 정보기술(IT) 인프라를 기초로 하는 IT·생명공학(BT) 허브라면, 나머지 두 곳은 제조업이 중심이 된다. 정부도 각 지역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 인천에는 다국적기업의 아시아 본부와 선진 외국기업의 연구개발(R&D) 센터를 집중 유치하는 반면 부산·진해와 광양만에 대해서는 제조업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인천의 경우 인천공항을 싱가포르 첵랍콕 공항을 능가하는 세계 최고로 만들고 첨단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부산·진해에 대해서는 중국 상하이(上海)에 밀려 세계 4위로 하락한 부산항에 2006년까지 6선석(1선석은 컨테이너선 1척이 접안할 수 있는 부두)의 신항만을 완공하고, 25만평의 배후지를 우선적으로 건설하기로 했다. 또 광양만권에 대해서는 2006년까지 8선석, 2011년까지 17선석을 추가로 만들기로 했다.
오갑원 경제자유구역 기획단장은 "부산·진해의 경우 배후단지에서의 물품 가공을 활성화하고, 이미 조성된 물류·자동차·조선산업에 외자를 유치하는 것이 핵심전략"이라며 "광양만권은 인접한 광양제철소와 여수 화학단지를 활용해 석유·제철산업 클러스트를 만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2009년 진해에서 열리는 F1(3,000cc급 경주용 자동차) 대회에 맞춰, 국제자동차 경주장을 만들 계획이다. 이 행사는 올림픽, 월드컵 등에 버금가는 세계적 행사이다.
그러나 정부의 이 같은 구상이 차질 없이 이뤄질 수 있을 지는 미지수. 상하이가 부산항을 제칠 수 있었던 것도 거대한 내수시장으로 향한 외국자본 때문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경제자유구역의 외자유치 실적이 미흡할 경우 공항·항만 시설 확충 자체가 무의미해질 수 있다. 오 단장도 "결국 외자유치가 관건"이라며 "일단 2006년까지 3개 지역의 가능성을 확인한 뒤 추가적인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
/유병률기자 bryu@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