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중앙청사의 통합 브리핑룸이 6개월 동안의 준비 끝에 1일부터 가동됐다. 이날부터 운영에 들어간 브리핑룸은 모두 4곳이다. 정부중앙청사 10층에는 총리실이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브리핑룸 1곳이, 5층에는 통일부, 행자부·여성부, 교육부 등 4개 부처 몫으로 2곳이 마련됐다.정부과천청사는 공간을 확보하지 못해 브리핑룸 2곳의 운영을 내년 1월로 미뤘고, 이날은 애초 계획에는 없던 건교부 몫의 독자 브리핑룸만 운영을 시작했다. 실질적으로는 정부의 통합브리핑룸이 아니라, 4개부처의 기자실 만이 통폐합된 셈이다.
기존 기자실은 기사송고실로 바뀌었다. 총리실 기자실은 내부 수리를 거쳐 기사송고실로 문패만 바꿨다. 5층에서는 96평 규모의 기사송고실을 3등분해 4개 부처 출입기자들이 사용토록 했다. 외교·국방·문광부 등 개별 청사를 사용하는 부처는 상황에 따라 기존 기자실을 유지하거나 기사송고실을 별도로 만드는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
취재 환경도 이전과 달라지게 됐다. 개방형 등록제가 시행됨에 따라 모든 매체의 출입이 가능해졌지만 사무실 취재는 원칙적으로 불가능해졌다. 또 부처별로 장·차관의 브리핑을 정례화하기로 한 것도 달라진 모습이다.
그러나 정부의 기자실 개방·운영 방안은 외형상으로만 봐도 당초 계획에서 크게 후퇴한 모습이다. 브리핑룸이 별도로 만들어졌을 뿐 기사송고실은 기존 기자실의 형태를 유지한 채 형식적으로 개별 회사의 명패만 떼는 상황이 벌어졌다. 특히 일부 부처는 기자실을 유지한 채 브리핑룸만 더 만든 꼴이어서 공간 낭비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정보가 일방통행으로 흐르지 않겠냐는 우려가 여전하다. 부처별로 정보공개 제도를 확립하지 않은 상황에서 보도자료와 브리핑만으로 취재원을 사실상 한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날 오전 중앙청사 5층 브리핑룸 개관식에는 4개 부처 장관 등 고위 공직자들이 대거 참석했지만 정작 기자들은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정부가 9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공간을 재정비했지만 새로운 환경이 자리를 잡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양정대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