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노조와 사용자 대표가 임금 삭감 등 노동조건의 후퇴 없는 주5일 근무제 실시에 합의한 것은 의미하는 바가 적지 않다. 이번 교섭에 참가한 100개 기업은 대부분 중소업체다.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의 중소기업들이 산별 교섭을 통해 주5일 근무제 시행을 결정한 것은 앞으로 이 제도가 빠른 속도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더욱이 현재 이 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대기업들이 기존의 연월차 휴가 등을 활용한 토요 휴무제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이번 합의 내용은 예상 정도를 크게 뛰어넘은 것이다. 이에 따라 향후 진행될 대기업의 노사 협상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하지만 이번 합의가 새로운 노사정 갈등의 원인이 되지 않을까 우려되는 측면이 있다. 당장 재계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 경영자총협회는 중소기업의 실정을 무시한 합의라며 다른 기업과 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의 파업 위협에 너무 빨리 굴복했다는 것이다. 노동계는 이번 합의 결과를 정부의 주5일제 입법화 저지를 위해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모두가 서로 다른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이다.
주5일 근무제는 세계적인 흐름이다. 국내에서도 이 제도가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필요하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지만,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놓고 그동안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국회에 계류중인 법안조차 처리하지 못하는 등 이해집단 간 갈등을 제대로 조정하지 못한 정치권의 책임이 크다. 주5일 근무제는 국민생활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 사회적 합의가 무엇보다 요구된다. 그렇다고 언제까지 논쟁만 하면서 시간을 허비할 수는 없다. 이번 합의가 주5일 근무제에 대한 노사정 간 최대 공약수를 도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