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기업 3곳 중 1곳 이상이 향후 5년 동안 이공계 인력채용을 늘리기로 하는 등 이공계 대졸자의 취업전망이 밝은 것으로 조사됐다.기업들은 그러나 이공계 신입사원의 실무능력이 떨어져 채용 이후에도 막대한 기술 관련 교육비를 지출하는 등 신입사원의 능력에 대해 불만을 많이 느끼고 있고, 우수 인재들 역시 이공계 출신의 급여가 다른 전문직에 비해 떨어져 이공계 진학을 기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일 97개 회원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작성한 '기업의 이공계 인력 활용 실태 보고서'에서 향후 5년 동안 이공계 인력을 늘리겠다고 응답한 기업이 36.6%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공계 인력을 '현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기업은 61.3%였고 '줄이겠다'는 기업은 2.2%에 불과했으며 가장 필요한 인력은 연구·개발 인력(40.2%), 엔지니어(39.2%), 관리 및 기획 인력(17.6%) 등이었다.
이공계 채용확대는 이미 새로운 채용경향으로 뚜렷이 자리를 잡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조사대상 기업들이 선발한 신입사원 중 이공계 전공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의 55.2%에서 지난해 58.3%로 3.1%포인트 늘어나며 인문사회계열 채용 비중을 앞질렀다.
그러나 기업들은 이공계 인력을 채용할 때 가장 큰 애로로 '인력의 질적 부족'(30.1%)을 꼽아 이공계 채용 비중을 늘리면서도 인력의 질에 대해서는 회의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해외에서 고급 기술인력을 유치하는 기업도 37.4%에 달했다. 인력을 해외에서 유치한 이유는 외국인력이 국내 인력보다 보유기술이나 능력이 우수하거나(81%) 국내에서 해당 인력을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13%)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이공계 인력을 채용한 뒤 숙련인력으로 양성하기 위해 약 2년 정도에 걸쳐 1,000만원 이상을 교육비 등으로 투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공계의 밝은 취업전망에도 불구하고 우수인력의 이공계 진학 기피가 심화하고 있고 있는 이유로는 '의사 변호사 등 전문직 대비 상대적 박탈감'(47.7%), '낮은 취업률'(28.4%), '일자리 안정성 부족'(10.2%), '진급상 불이익'(8.0%) 등이 꼽혔다. 전경련은 이와 관련, 이공계 대졸 초임 연봉이 전자부문 1,900만∼2,300만원, 정보기술부문 1,800만∼2,100만원으로 전문직 뿐 아니라 인문계의 금융부문(2,400만∼3,000만원)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이공계 인력의 양적 질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학 교육이 보다 현실화하고 전공교육도 강화해야 한다"며 "이공계 인력 부족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이공계 출신자에 대한 보상체계를 높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철기자 kc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