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 가운의 의사는 허구한 날 목도장 전각에 여념이 없었고 그저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리면서 스스로 즐거워하였다."도륜 스님이 운여(雲如) 김광업(金廣業·1906∼1976)의 모습을 전한 말이다. 서울대 의대의 전신인 경성의전 졸업 후 평양, 부산에서 안과를 개업한 의사였던 그는 한국 근현대 서단에서 누구보다 독특한 위치를 가졌던 서예, 전각 작가이기도 했다.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이 20일부터 7월13일까지 여는 '운여 김광업의 문자반야(文字般若) 세계'는 베일에 가려져 있던 그의 예술세계를 전면적으로 재조명하는 자리다. 통도사 성보박물관, 고예가에 소장된 그의 서예, 전각, 그림과 자료 250점이 공개된다.
김광업은 한국 근현대 건축의 대가 고 김중업(1922∼1988)의 친형이다. 의사였지만 1956년 부산 최초의 서예학원인 동명서화원을 차리고 한국 불화의 1인자로 꼽히는 석정(石鼎·75) 스님을 만나면서 그는 선묵의 세계에 빠져들게 된다. 서화가라는 굴레에 매이지 않고 '먹을 자유자재로 가지고 놀았던 인물'이었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이동국 예술의전당 큐레이터는 "서숙을 통한 도제식 교육과 몰개성적인 공모전을 통한 서예가 집단이 이끌어온 한국 서단에서 운여의 글씨는 시류를 벗어나는 독자적인, 극단적이라 할 수 있는 획질과 결구를 가지게 됐다"고 말했다.
이 말처럼 그의 글씨나 그림은 보는 이의 가슴을 시원하게 뚫어 준다. 고전적 서법에 기대기보다 해학이 넘치는 독창적 조형, 자유로운 필법이다.
최순우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늘 세속사에 담담하면서도 사람과 세상을 바라보는 너그러운 눈길이 항상 이쪽 가슴 속을 어루만져 주는 느낌이 있었다.
서(書)는 물론 사군자, 선화, 전각에 이르기까지 운여 선생은 참으로 자유인다웠다"고 그의 인간미와 예술에 대해 말했다. (02)580―1511
/하종오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