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동북아 경제중심으로 발전시키려면 무엇보다도 세계 주요 다국적기업을 한국으로 유치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양수길 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는 13일 서강대에서 '동북아경제중심의타당성과 전략'을 주제로 열린 오피니언 리더스 프로그램(OLP) 과정 세미나에서 동북아경제중심화 전략의 핵심은 한국을 동북아지역의 투자거점으로 만드는데 있다고 역설했다.
양 전 대사는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한국 제조업 공동화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는 만큼 우리 경제구조를 첨단 기술 산업과 고부가가치 부문 중심으로 고도화해야 한다"며 "결국 세계 유수 다국적기업 유치가 우리 경제 고도화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호전적 노조, 복잡한 규제체계, 높은 세율, 전문인력 양성체제 미비 등 열악한 기업경영 환경이 다국적기업 유치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이런 장애들을 해소하고 북한경제에 동반발전의 기회를 주면 동북아지역 공동체의 꿈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토론자로 나선 송희연 아주대교수, 정갑영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박해식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물류중심화, 금융허브, 정보기술(IT)중심 등의 방안을 방법론으로 제시했고 박연수 인천경제자유구역기획단장은 인천 송도 지역의 외자 유치 현황과 개발 진전 상황을 설명했다.
송 교수는 '중국충격'에 대비하려면 중국에 비해 경쟁우위에 있는 지식기반 고부가가치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육성해야 한다면서 경쟁우위 분야가 바로 동북아지역의 물류센터 개발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천을 중심으로 한 '경기만 벨트' 일대에 지역물류센터를 개발하고 Fedex, DHL 등 세계적인 물류기업을 유치하면 외국인 직접투자가 크게 신장될 것으로 내다봤다.
박해식 연구위원은 "중국의 부상으로 제조업을 근간으로 하는 우리경제의 앞날이 불투명해지고 있다"고 전제, 동북아 금융허브의 육성은 국내산업구조를 서비스산업으로 이전시키고 우리경제가 장기적으로 생존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며 금융허브론을 주장했다.
사회자인 진 념 전 부총리는 상하이 등 경쟁지역의 발 빠른 움직임을 감안할 때 동북아 경제중심화는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고 강조하고 정부는 어떤 액션 프로그램이 필요한 지 방향을 정해 신속히 행동에 옮겨야 한다고 말했다.
/이창민기자 cm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