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를 배경으로 한 '나비'는 삼청교육대를 멜로 영화의 전형성을 극복하는 장치로 사용했다. 시골에서 헤어진 연인이 서울에서 다시 만났으나 남자는 세상 밑바닥을 전전하는 제비족이 돼 있고, 남자를 찾아 서울로 온 여자는 요정을 거쳐 육군 대령의 여자가 돼 있었다.상투적 이야기 구성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모처럼 삼청교육대라는 80년대 역사의 그늘이 영화로 표현된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그러나 실망스럽게도 시대적 장치는 멜로와 제대로 아귀가 맞지 않아 삐걱거린다.
삼청교육대의 잔혹성은 조폭 코드를 대신한 볼거리에 그치고, 왜 그 시대가 그러한 폭압의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었느냐는 의미를 분석해 내지 못했다. 사기꾼 약장사와 강간범, 조직 폭력배 등 삼청교육대에 끌려온 잡범들의 갈등을 통해 자잘한 웃음을 주겠다는 연출 의도는 불순하다.
주인공 김민종과 김정은의 연기 변신은 적잖은 가능성을 안고 있는데도 결론적으로는 미흡하다. "폼 나게 돌아온다"는 말을 남기고 떠났지만 "주먹에도, 스텝에도 정이 너무 많아" 한 건을 올리지 못하고, 연적 허 대령(독고영재)의 음모로 삼청교육대에 끌려간 민재의 캐릭터는 김민종의 몸을 던진 연기에도 불구하고 관객의 가슴에 불꽃을 지피기에는 역부족이다.
코믹 캐릭터의 대명사 김정은의 연기 변신도 배우의 잠재력으로 보아 눈길을 끌 만했다. 그러나 주인공 혜미(김정은)를 통해 웃음과 눈물을 동시에 주겠다는 설정은 연기 변신의 폭을 제한했다.
혜미의 남자인 허 대령과 혜미를 짝사랑하는 황 대위(이종원)의 정치적 야심과 야합 때문에 죽음을 맞게 되는 혜미의 비극성을 강조하기 위해 삼청교육대까지 끌어 들인 것은 지나치게 작위적이다. 시대를 통찰하는 진지한 시각이 부족한 탓이다.
깡패 도철 역의 이문식이 만들어내는 웃음이나 허 대령 역의 독고영재가 빚어낸 변태적 카리스마, 제복이 잘 어울리는 이종원 등 조연들의 연기가 비교적 탄탄한데도 멋진 화면을 만드는 데만 공을 들인 연출의 한계로 결정적 감동을 제공하지 못했다. '흑수선' '가문의 영광'의 시각감독 출신인 김현성 감독의 데뷔작. 30일 개봉.
/박은주기자 jup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