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의 일이다. 집 마당에서 현관으로 오르내리던 계단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대'竹'를 몇 주 심었다. 그걸 심어 놓고 올려다보며, 내려다보며 아주 좋았다. 대라는 식물이 가진 상고취자(尙古趣者)들이 말하는 무슨 상징성이라든가 하는 게 있어서가 아니라 그것들을 모두 괄호 속에 넣고도 남는 어떤 것이 오래 전부터 좋았던 터다. 내게도 조숙(早熟)이 있었다면 아마도 대를 좋아한 것 정도를 말할 수 있을까? 계단이 있던 자리는 마땅히 그것이 있어야 할 만한 적절한 자리가 아니었던 바 아니나 나는 계단을 아주 한쪽으로 밀어 붙이고 그 빈 자리를 순수하게 내가 차지하고자 했다. 대를 심어 기르는 것도 차지하는 거라 치면 그렇다. 평수로 쳐 봐야 한 평이 넘을까 말까 한 정도지만 내 욕망은 가끔 이런 쓸데없는 데에 곧잘 매달린다. 물론 이른바 경제적 측면 등등에서는 아무도 이해해 주지 않을 어림없는 짓에 불과하다. 그리하여 이전의 계단은 한쪽 담모퉁이 쪽으로 밀려났고 대신 그 자리를 차지한 대 몇 주는 이제 마디마디 나의 마음을 높이는 시퍼런 계단이 되었다. 내가 문학을 하는 행위가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았을 터이다. 처음부터 그렇게 지어진 집을 구해 왔듯이 이러한 세상에 왔을 뿐이다. 적응하여 사는 것이 순리라면 순리일 것이매 대를 좋아했다손 치더라도 심을 만한 자리가 없으면 그만이어야 한 것을 그러나 그렇게는 안되겠다 싶었던 모양이다. 어느날 문득 멀쩡한 계단을 큰돈까지 들여 부수어 내고 만 것이다.그런데 그 대와 나무를 심는 행위에 몸이 가진 힘을 넘겨서 쏟다 보니 한동안 앉아 있을 수밖에 없었는데 그때 드는 생각이 하나 있었다. 내가 좋아한 나무를 심는 바이지만 이게 인류평화를 위한 구체적인 행위라고 보아 무방하지 않은가 하는 개똥철학의 진실이 그것이다. 어떤 동화에서 얼핏 보았던 것으로 짐작되지만 나무를 심는 행위의 그 무심스러운, 그러나 구체적인 의미를 문학은 따라야만 하리라.
이제 청년이 되려고 하는 사춘기의 어느날 야트막한 야산의 숲에서 걸어 나온다. 갈대 숲 사이로 한 사람이나 가끔 지나는 듯 흐지부지 길이 나 있다. 봄은 아직 일러 묵은 갈대들은 철 지나 버리려고 밀쳐둔 누더기 같지만 그 위에 쏟아지는 햇빛의 온도는 어머니의 그것을 닮아서 그 온도를 따라가서는 한참을 머물렀던 터이다. 쭈그려 앉았거나 혹은 두팔을 전쟁 포로가 투항할 때 그러는 것처럼 뒷머리에 깍지 껴 받쳐 눕거나 하다가 이내 무료해져서는 다시 그 멧갓 짐승의 길 같은, 길 아닌 길을 걸어나오는 것이었다.
그 길은 나의 고등학교 시절의 뒷산으로 이어진, 지금도 여기 이렇게 아주 흩어지지는 않고 흐지부지 머물러 있다. 아무리 다잡아도 그 공부는 아닌 것 같은 조바심에 시달리던 때였으므로 수업에 들어가지 않으려고 갖은 노력을 다하다가 포기한 시간들, 그것을 일러 어떤 살(煞)이라고 해야 할 텐데 종잡을 수 없다. 그때의 간절한 소망은 어디 밥 먹여 주고 아무 잔소리하지 않고 책이나 읽게 놔 두는 장소에의 간절한 소망 정도라고 할까? 도대체 그런 데가 이 세상에 어디 있겠는가만 그래도 그 비스름한 데라도 가고 싶었던 것이다.
산을 걸어 내려오면 거기 높게 쌓아 올린 돌 축대가 있었다. 그 아래 멈춰 서서 그 축대를 올려다보고 또 올려다보고 했다. 축대 위의 시퍼런 하늘이 녹아서는 두 눈에 담겼다 떨구어지곤 했던가? 그 까닭을 찾자면 수도 없이 많겠고 수도 없이 많다는 것은 정작 별 것 아니었다고 말해도 괜찮은 종류들이었겠지만 절실했다는 사실만은 거짓이 아니다. 어디 없을까? 어디 없을까? 그때 절간이란 데를 한번이라도 가보았다면 그곳을 찾았을지 모른다. 그래서 지금도 어느 호젓한 창호지 방에 머리 깎고 앉아 있는 아름다운 신세가 되었을지 모른다. 꼭 절간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러한 때에 다시금 나타난 건 역시 시였다. '세상엔 이런 것이 있구나!'하는, 아직 경이(驚異)라고까지는 말할 수 없지만 그래도 부득이 '이러한 것이 있어서' '기댈 만한 것이 이것이겠구나' 하는 어떤 것이 슬그머니 확정지어진 것이다. 그전에도 물론 홀연 나타나지 않았던 바 아니지만 붙잡아야 할 건지는 의구를 갖지 않을 수 없었다.
저물어 어두워진 뽕밭에서 뽕잎을 딴다. 초등학교 오학년 즈음의 소년과 중년을 넘어가는 그의 어머니가 나란히 별 말도 없이 뽕잎을 따서 연신 자루에 넣는다. 어둠들도 뽕잎과 더불어 싱싱하게 뜯겨서는 자루에 넣어진다.
놀다 집에 돌아와 보니 부랴부랴 늦게 품팔고 온 어머니도 당도했다. 그 해 처음으로 돈을 만들어보겠다고 얼만큼의 누에를 쳐보는 중이었다. 저녁에 당도한 집에 누에를 먹일 뽕잎이 없었다. 예상대로라면 남아 있어야 했지만 하루를 더 자란 누에는 그 전날에 비해 배는 더 먹어서 남은 것이 없었던 것이다. 굶길 수는 없는 일이므로 어린 아들과 뽕밭으로 간 거였다. 그 기억이 왜 이렇게 선명한 걸까. 싯푸른 물결 같은 그 잎들 사이를 오가며 가장 크고 넓은 것들을 똑똑 손가락으로 부러뜨리던 소리까지도 싱싱하게 아직 남아 있으니.
네 번의 잠을 잔 누에는 몸이 투명해지면서 먹이를 끊었다. 그리고는 두리번거리며 방황을 시작하는 거였다. 집을 지어야 할 자리를 찾기 시작했다는 것을 눈치채기는 어렵지 않았다. 급한 대로 소나무 가지를 잘라서 놓아두면 거기에 올라 적당한 자리를 잡고 고개를 휘휘 두르며 입에서 실을 뽑아서는 고치를 지어나갔다.
식구들이 불화한 아침나절이면 나는 햇빛도 찰랑이는 샘가에 앉아 있곤 했다. 불화를 형상화하는 소재는 다양했지만 그 주제는 모두 가난 플러스 알파였다. 가난하면 가난에 어울려야지 가난보다 똑똑해선 안 된다. 어린 내가 주체하기 어려운 그 불화의 가장자리! 가난에 보태지는 알파에는 우리의 역사를 한몫 크게 넣어야 하겠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그걸 말하고 싶진 않다. 그땐 알지도 못한 거지만 말이다. 샘가에서 샘물을 들여다보며 울음을 터뜨릴 나이가 지난 내가 하는 일은 '이게 아닌데, 이게 아닌데' 하고 되뇌는 일과 무력감, 딱히 어디, 누구에게랄 것도 없는 적의 같은 것들을 삭히는 거였다. 어른대는 물 속의 내 불쌍한 모습도 삭혔다. 갑자기 배가 고프고 빈혈이 오고 악다구니가 오고 부끄러움이 오고 살기 같은 것도 그 어린이에겐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어떻게 할 수 없는 그 막막하고도 막막한 슬픔의 체험은 누에와 다를 바 없던 그 소년에게는 모두 뽕잎들이었는지 모른다.
비로소 고치 속에 제 몸을 들여놓은 누에가 그 안에서 계속해 고개를 저어가면서 집을 두터이 해 들어가는 모습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분명 멀어지는 것은 아닌데도 멀어지는, 사라지는 것으로 느껴져 마음이 착잡해졌던 기억이다. 어느새 그 모습이 어렴풋해지고 마침내 보이지 않았다. 그래도 그 안에서 누에는 제 육신이 다할 때까지 쉬지 않고 그 육신의 모든 것을 뽑아 집을 짓고 있으리라는 것을 모르지 않았다. 솔가지 여기 저기에 주렁주렁 매달린 새하얀 타원형의 누에고치는 이쁘기 그지없었다. 얼마간의 누에고치가 수습되어 어머니는 그걸 들고 도회지로 나가시고 또 얼마간의 돈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수습될 수 없었던 늦된 누에들이 있었다. 버릴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그대로 늦된 대로 내버려두어 그만한 자리를 잡아 집을 짓고 그 안으로 '멀어지는' 것을 바라보곤 하였다.
모든 것을 부정하고 싶은 세상에 대한 적의가 문학을, 시를 만났을 때 그것은 순진하게도 그것을 통해서 무슨 말이든지 지껄일 수 있겠다는 것이었고 문학은 그런 의미에서 어떤 정신적 고통도 능수능란하게 처리하고 앙갚음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생각했던 것인지 모른다. 내게 치욕을 안긴 인물은 문학에다 실명으로 그려 넣어서 영원불멸의 치욕으로 되갚아 주겠다는 오기가 내게 문학을 생의 아귀에서 꼭 붙들고 놓지 않게끔 했는지 모른다. 그러한 얼뜨기 믿음은 내부에서 쾌감을 생산한다는 사실도 알았다. 그것은 마술과 같은 것이어서 누구도 나를 당할 순 없으리란 오만방자를 갖게 한다. 어느 정도는 지금도 그 앙금이 남아서 호기를 낳는다. 그것도 없다면 정치적 겸손이거나 거짓말일 것이라고 나는 확신한다. 그렇지 않다면 다른 것을 해야 하지 않을까? 나는 문학만을 가르친다는 대학을 찾아갈 수밖에 없었고 그리고 지금까지 그 길은 이어져서 문학을 가르치는 행복으로, 또는 고통으로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여느 때와 다를 바 없이 어느 저녁 집으로 돌아온다. 무엇인가를 찾느라고 재봉틀의 서랍을 연다. 거기 한 영혼이, 고요히 현현하였다. 작고 흰 나방 하나가 누추해진 고치 위에 앉아 있었던 것이다. 서랍 속 귀퉁이를 찾아가 집을 지은, 버림받은 거와 다를 바 없는 영혼이 이제 육신을 벗고 깨어나 날아가려 하고 있다. 내게 그보다 더 극적인 체험은 달리 없다. 그것은 차마 예상치 못한 하나의 경이였다. 그리고 내 생이 어떠해야 할 것인가를 보여주는, 내 뇌리를 떠나지 않는 몇 가지 풍경 중의 하나가 되었다. 내 육신은 고통과 증오와 치욕과 방황을 먹지만 그것들을 다시 뱉어내어 집을 짓고 그 '내부'로 사라질 수만 있다면 나는 육신을 다 써버린 어느날 날개를 달고 나와 늠름하게 이젠 버려도 되는 그 집 위에 앉아 내가 살아낸 세상을 유유히 바라볼 수 있으리라. 그러나 내가 먹은 그 많은 '뽕잎'이 사랑의 명주실로 소화되지 않고서는 집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의 발견이야말로 또 한 층의 고통이었는지 모른다. 그 고통을 미래에라도 실감할 수 있다면….
나는 이즈음 사춘기의 높다란 돌축대 대신 싯푸른 대나무 아래 서서 대잎들에 서걱이는 하늘을 눈에 녹이며 그런 생각에 잠기곤 한다. 헌데 그 나방은, 영혼은 훌쩍 날아올랐던가? 날아올랐던가? 그것을 나는 보았던가?
● 연보
1965년 인천 출생 1986년 서울예대 문예창작과 졸업 198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시 '맨발로 걷기' 당선 등단 2003년 현재 한양여대 문예창작과 교수 시집 '새떼들에게로의 망명' '지금은 간신히 아무도 그립지 않을 무렵' '젖은 눈' '왼쪽 가슴 아래께에 온 통증' 산문집 '물의 정거장' 등 김수영문학상(1992) 현대문학상(1998) 등 수상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