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과 평검사들의 공개 토론회를 계기로 검찰개혁이 본궤도에 진압한 느낌이다. 검찰 지휘부에 대한 대통령의 공개적인 불신 표명을 이유로 김각영 총장이 전격 사퇴하고, 후임자 하마평이 오르내리는 가운데 법무부는 검찰 고위직 인사안에 대한 검찰의 의견을 수렴중이다.일선 검사들이 토론회의 성과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어 검찰개혁의 당위성은 더욱 강조된 셈이다. 대통령을 상대로 못한 소리가 없을 정도로, 하고싶은 말을 다 쏟아낸 사실 자체가 큰 수확이라 할 것이다. 더구나 국민 앞에서 "다음 인사부터는 직급별로 인사위원회를 구성해 공정하고 투명한 인사를 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낸 것은 무엇보다 값진 성과였다. 검찰의 독립과 정치적 중립을 위해 인적 청산이 불가피하다는 대통령의 발언도 검찰개혁에 힘이 될 것으로 본다.
문제는 후임총장 인선이다. 검찰개혁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잘 수행해 안팎으로 상처받은 검찰의 위상을 바로잡을 적임자를 찾아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 몇 가지 조건이 필수적이라고 본다. 검찰 내부에서 발탁하든 외부에서 영입하든, 우선 검찰 조직원의 신망이 두터워야 한다는 점이다. 과거 몇 사람의 사례에서 보았듯, 정권과 특수관계를 가진 정치검사를 배제해야 한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도덕적으로 떳떳해야 한다는 것도 중요한 조건이다. 사회정의 구현의 첨병을 자부하는 검찰의 수장이 되려면, 직업 능력면에서 다소 뒤지더라도 도덕적으로 부끄러울 것 없는 인물이어야 한다. 더구나 이번 총장은 국회 인사청문이란 관문을 통과해야 한다. 다소 인사가 늦어지더라도 철저하게 검증할 필요가 있다. 깨끗한 인물을 고르는 것이 절반의 성공이라는 점을 유념하기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