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개혁특위가 최고위원제 폐지, 중앙위 신설 쪽으로 지도체제를 결정함에 따라 현 지도부의 퇴진과 과도 지도부 구성 여부 등이 관심사로 떠올랐다.특위는 "새 당헌이 당무회의를 통과하면 구 당헌에 의해 구성됐던 현 최고위원단의 권한은 자연스럽게 종료되기 때문에 과도지도체제 구성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간사인 천정배(千正培) 의원은 "당 개혁을 마무리하는데 6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당분간 임시 지도체제로 가야한다"고 말했다. 정식 지도부는 하반기에 전당대회를 열어 뽑자는 게 특위 구상이다.
한화갑(韓和甲) 대표가 노무현 당선자 취임일인 25일 전에 자진해서 대표직을 물러날 경우에도 역시 과도체제 구성은 피할 수 없다는 얘기도 나온다. 경선 1위인 한 대표가 자리를 던지면 다른 최고위원들도 동반 사퇴할 가능성이 커 어떤 식으로든 당이 과도지도체제로 운영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일각에선 "대표 자리가 공석이면 전당대회에서 2위를 차지했던 정대철 최고위원이 직무대행을 맡을 수 있다"며 정 위원의 동향을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정 위원은 차기 당권을 노리고 있는 만큼 과도지도부를 맡는 것은 정치적으로 명분이 약하다"는 반론이 많은 게 사실이다.
현재로선 당원이 직선하는 중앙위 의장이나, 원내 대표인 총무직에 도전하지 않을 중립적인 인사가 과도지도체제를 책임져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이다. 이런 면에서 김원기(金元基) 특위위원장과 조순형(趙舜衡) 고문 등이 우선 거론된다. 다만, 김 고문은 여전히 당권을 생각하고 있고 노 당선자의 정치 고문으로 임명될 예정이어서 당정분리 원칙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신주류 안의 당권 경쟁자인 정대철 위원측에서 김 위원장의 '우월적 지위'를 용인하겠느냐는 회의론도 만만치 않다.
/박정철기자 parkjc@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