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S정 등 진해거담제가 필로폰 등과 유사한 환각효과를 가진 마약으로 사용돼 물의를 빚고 있다. 아이러니컬하지만 약과 독의 경계는 종이 한장 차이일 수도 있다. 말 그대로 제대로 쓰면 약이 되지만 잘못 쓰면 독이 된다. 약이 독이 되지 않게 하려면 엄격한 복용 지침을 따라야 한다. 어떤 음식과 함께 먹느냐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음식물과 상호작용을 일으켜 약효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약도 궁합이 있다
대체로 약은 물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다. 흔히 뜨거운 물과 먹어야 약효가 높다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다.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약이 위에 더 오래 머물게 돼 약효가 떨어진다. 또 약이 잘 분해되도록 하려면 한 컵 정도로 충분히 마셔야 한다. 특히 위장장애가 심한 약은 200쭬 이상의 물과 함께 마셔야 식도 궤양을 유발하지 않고 위 점막도 자극하지 않는다.
소화제(아진탈, 노루모, 메디자임 등)나 제산제(알드린, 아루포스, 로겔, 노이시린 등)를 복용할 때는 유제품(우유·치즈·요구르트 등) 섭취를 삼가야 한다. 우유 속의 칼슘이 약 흡수를 막기 때문.
감기약이나 변비약도 유제품과 함께 먹지 않는 게 좋다. 감기약이나 변비약에 들어 있는 테트라사이클린 성분이 유제품과 작용해 약 성분의 20∼30%만 체내에 흡수되기 때문이다. 이런 약을 먹은 경우에는 최소한 2시간 뒤에 유제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위에서 흡수되지 않도록 만든 제제인 장용정(腸溶錠)도 약알칼리성인 우유와 함께 먹으면 위의 산도가 높아져 약의 보호막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에리스로마이신처럼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항생제는 우유와 함께 먹는 게 위장장애를 덜 일으키므로 복용 전에 복용법과 주의사항을 알아두어야 한다.
▼고혈압약과 과일주스는 상극
포도·자몽·오렌지 주스 같은 산성 과일주스는 고혈압약(펠로디핀)과 상극이다. 고혈압약을 과일주스와 함께 복용하면 간 대사작용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혈압을 지나치게 떨어뜨릴 염려가 있다. 바나나, 치즈, 청어 등도 고혈압약과 상극이다. 이런 음식물에 함유된 타라민 성분이 고혈압약에 함유된 파르길린 성분과 섞여 뇌졸중 같은 치명적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
제산제도 과일주스와 함께 먹으면 안 된다. 과일주스나 탄산소다는 제산제가 장에 도달하기 전에 위에서 먼저 녹게 만들고, 오렌지주스는 제산제의 알루미늄 성분을 체내에 흡수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반면 철분제제는 흡수를 도와주는 산성주스와 함께 복용하는 게 오히려 좋다.
▼비타민은 차(茶)와 먹지 말아야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제(알러젝트·터페딘)와 당뇨병 치료제 등을 복용할 때는 흰 설탕과 조미료를 먹지 말아야 한다. 또 비타민이나 빈혈약(헤모페론)을 복용할 때는 녹차나 홍차 등을 삼가는 게 좋다. 녹차나 홍차에 함유된 탄닌 성분이 약물의 고유성분을 변화시켜 약효를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물론 약물 복용 중에는 음주와 흡연을 자제해야 한다. 여성호르몬이 함유된 피임약을 복용하면서 흡연을 많이 하면 혈전증을 일으킬 위험이 매우 높다. 테오필린이 들어 있는 천식약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더 많은 양의 약을 먹어야 한다. 흡연은 간의 효소작용을 증가시켜 대사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당뇨병약을 먹으면서 술을 마시면 안면이 붉어지거나 두통, 메스꺼움,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수면제나 진정제, 기침 감기약 등은 술과는 상극이다. 만성적으로 술을 마시면 약이 잘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약을 복용할 때는 반드시 금주해야 한다. 커피나 홍차와 함께 먹는 것도 좋지 않다. 카페인이 든 커피, 홍차, 우롱차 등은 강심작용이나 이뇨작용 등을 유발해 약효를 떨어뜨리거나 지나치게 강하게 한다. 특히 위염·소화성 궤양 약물의 경우 위액 분비를 촉진시키는 카페인 음료는 금물이다.
/권대익기자 dkwon@hk.co.kr
■당신의 약복용 상식은 몇점
Q 약을 항상 식후 30분에 먹어야 하나?
대부분의 약은 식후 30분이 부작용을 줄이면서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적정 복용시점이다. 하지만 우선적으로 약물 흡수율을 높이고 신속정확한 효과를 거두기 위해 위가 비어있는 공복(식전 30분 또는 식후 2시간)에 복용하는 약도 있다. 그래서 정장제와 식욕증진제, 일반적인 물약은 밥 먹기 30분 전에 먹는다. 진정제, 해열제, 진해제, 강심제 등은 밥 먹기 1시간 전이나 밥 먹기 2시간 후에 복용한다.
그러나 약의 부작용을 줄여야 하는 경우 식후 곧바로 먹는 것이 좋다. 위점막 자극이 적고 흡수가 느려지기 때문. 소화제나 그 밖의 가루약은 식후 곧바로 또는 식후 30분에 복용한다. 또 위점막에 장애가 되는 약도 식후 곧바로 먹는다.
Q 약을 오래 먹으면 위장을 버린다?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약도 있다. 스테로이드계 약물과 소염진통제가 대표적이다.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이나 천식 등에 많이 쓰이는 스테로이드계 약물은 위점막세포의 재생을 억제하기 때문에 많이 먹으면 위장장애와 위출혈이 나타난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퇴행성 관절염, 요통 등에 가장 널리 사용하는 소염진통제도 그렇다.
반면 만성 질환으로 장기간 복용해야 하는 고혈압 당뇨병 갑상선치료제는 위장 장애를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Q 소화제는 부작용이 없다?
소화제는 실험실에서 합성한 소화효소로 만든 것이거나, 제산제를 주요 성분으로 제조한 것으로 크게 나뉜다. 소화제 속에 함유한 '스코폴리아엑스'라는 성분은 일부 사람에게 부작용을 일으킨다. 따라서 소화제도 복용 정량과 용법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권대익기자
<도움말= 인천힘찬병원 내과 박혜영 진료부원장>도움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