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연장 운행문제로 또 다시 힘겨루기가 벌어지고 있다. 협상이 타결되지 않아 14일부터 1∼4호선에서 전면 파업이 벌어지면 큰 혼란과 불편이 초래된다. 지하철공사 노조원들이 교대로 이틀씩 휴가를 하는 방식으로 부분파업을 하고 있어 큰 지장이 없다지만, 이런 상황이 오래 가면 파업이 철회되더라도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이번의 노사 갈등에 대해서는 다시 서울시를 탓하지 않을 수 없다. 연장 운행을 추진하면서 노조와 성실하게 대화하지 않아 다툼을 자초한 책임을 부인하기 어렵다. 시민들의 환영을 받는 일이라 하더라도 운행당사자인 노조와 사전에 충분히 논의했어야 한다.
노조의 요구는 여러 가지이지만, 가장 큰 쟁점은 연장 운행에 따른 안전문제다. 결국 인원 증원이 문제인 것이다. 노조의 요구와 서울시의 제시안을 비교하면 지금도 1,000여명이나 차이가 나는데, 무작정 사람을 늘리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는 전제 아래 한 시라도 빨리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 연장 운행의 절차가 잘못된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명분에서는 서울시가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지난 해 12월16일 파업 직전에 협상을 타결지은 도시철도공사노조의 경우를 참고로 삼아 증원문제를 마무리 짓는 것이 좋겠다.
서울지하철은 1999년 4월 이후 무파업 전통을 쌓아왔다. 우리나라에서는 노조가 국가발전을 위해 어떻게 기여해야 하며 어떻게 활동을 해야 하는가가 주요 현안 중 하나이다. 그런 점에서 3년이 넘는 서울지하철 무파업은 대단한 기록이다. 노사 모두가 소중하게 생각해야 할 사회적 자산이다. 2월25일 출범하는 새 정부가 강조하는 것도 대화와 타협이다. 무파업 타결의 전통을 살려 작게는 시민들에게 불편을 주는 일을 막고 크게는 노사관계의 새로운 틀을 정립하는 계기로 삼기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