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연체율이 아무리 늘어도 가계대출은 끄덕 없다." "카드부실의 암세포가 머지않아 가계대출까지 집어삼킬 것이다."카드 연체율이 급증하면서 가계대출 부문으로의 '전이(轉移)' 여부가 은행권의 쟁점으로 떠올랐다. 가계대출 연체율이 카드부문과 달리 하향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현 추세대로 카드부실이 급증하면 유탄을 피할 수 없다는 경계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주요 은행들은 '가계대출은 여전히 안전하다'는 입장이다. 은행권의 신용카드 연체율이 12%대를 넘어서며 천정부지로 치솟던 지난해 말 가계대출 연체율은 1%대 중반에 머물렀다는 점이 논리적 근거다.
더욱이 카드와 가계대출 계정이 엄연히 분리돼 있는데다 가계대출의 경우 안전한 아파트담보대출 중심이어서 부동산값 급락 등 다른 외부변수가 없는 한 건전성에 큰 부담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국민은행의 경우 가계대출 자산규모가 70조원인데 이중 신용카드는 6조원에 불과하다"며 "규모 차이가 워낙 큰데다 시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카드 부실이 쌓이더라도 가계대출의 안정기조는 훼손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가계여신 고객과 신용카드 고객이 상당부분 중복되기 때문에 부실의 전이가 불가피하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저소득층인 카드 연체자의 상당수가 은행권 신용대출과 다세대·다가구 등 공동주택 담보대출을 이용했을 가능성이 높아 올해에는 가계여신의 건전성에도 악영향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LG투자증권 이준재 연구위원은 "최근 2년 사이에만 은행권의 저금리 융자지원으로 무려 40만 가구에 달하는 신규 다세대 주택이 저소득층에 공급됐다"며 "이들 저소득층의 대다수가 카드 '돌려막기'고객층과 겹치기 때문에 머지않아 가계대출 부문(공동주택 담보대출)에서도 동반 부실사태가 우려된다"고 경고했다.
카드빚 연체가 주택담보대출 이자의 연체로 이어질 것이란 주장이다. 더구나 다세대 주택은 아파트와 달리 환금성도 떨어지기 때문에 은행 입장에선 채권 회수에 나서더라도 큰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100만명의 신용불량자가 새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라며 "카드부실이 가계대출 전반의 부실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위기감으로 미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변형섭기자 hispeed@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