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당선자는 정권인수위를 정책 실무형으로 구성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1997년에는 '정권 교체' 성격에 맞춰 인수위가 권력 인수 중심으로 구성됐지만 이번은 '정권 이양' 성격에 가까우므로 정책 분석·평가 및 대안 마련에 주력한다는 것이다. 노 당선자는 인수위 구성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인수위는 1월 초에 구성돼 한달 반 가량 활동할 것으로 보인다. 5년 전에는 외환위기 등 현안이 산적해 있어서 12월 26일 인수위를 출범시켰다.이낙연(李洛淵) 당선자 대변인은 22일 "인수위 성격은 정치 중심과 정책 중심 등이 있는데, 이번에는 정책 중심으로 갈 것"이라면서 "이에 맞춰 인수위원장을 인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5년 전에는 IMF 사태에 대처하기 위해 인수위가 집행기능까지 맡았지만 이번에는 그럴 필요가 없다"며 "노 당선자는 취임 직후 곧바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했으면 좋겠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인수위원장에는 원로급이나 명망가형 인사보다는 실제로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발탁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대선 정책을 총괄한 임채정(林采正) 정책위의장, 15대 대통령직인수위 정책분과 간사를 지낸 이해찬(李海瓚) 전 정책위의장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일부에서는 김원기(金元基) 정치고문, 공동선대위원장을 지낸 정대철(鄭大哲) 최고위원과 정동영(鄭東泳) 상임고문 등도 거론되지만 실무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다.
인수위는 5년 전처럼 5∼6개 분과, 25명 가량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자문교수를 포함한 정책조언그룹도 둘 방침이다. 노 당선자는 "인수위에서 결정한 정책은 일관성을 갖고 집행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어서 인수위원 가운데 새 정부 각료로 진출하는 인사도 적지 않을 것 같다.
/김광덕 기자 kd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