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북한 핵 감시체제는 1994년 제네바 합의 이후 8년간 몇 차례 고비를 겪으면서도 일관되게 유지돼 온 한반도 핵 안보의 핵심요소다.IAEA의 감시는 영변 핵 단지의 5㎿ 및 50 ㎿원자로, 재처리 시설로 추정되는 방사화학실험실, 폐연료봉 저장소 등 5개 시설에 모아져 있다. IAEA는 2명의 감시관을 상주시키고 24시간 무인감시카메라를 가동하며 중단 없이 봉인 실태를 감시해왔다. 그러나 감마선 혹은 중성자 측정을 통한 방사능 물질 변동상황 계측 등 적극적 감시 행위는 북한의 반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최우선 감시 대상은 물론 영변의 저장고에 있는 50톤 분량의 폐연료봉이다. 5㎿ 원자로에서 꺼낸 파손된 700여 개 등 총 8,000여 개의 폐연료봉에는 25㎏의 플루토늄239가 포함돼 있어 재처리될 경우 핵 탄두 3∼6개가 만들어질 수 있다. 1차적으로 카메라가 이 폐연료봉을 감시한다. 감시카메라는 동영상이 아니라 5분에 한 장씩 저장고 곳곳을 촬영한다. 핵 물질 이동에는 최소 10분이 걸리기 때문이다. 감시관은 이렇게 찍은 필름을 3개월에 한번씩 수거해 IAEA 본부에 보낸다.
IAEA는 이 같은 감시 활동으로 북한의 '현재 핵'은 동결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 92년 제출한 '최초 보고서'와 IAEA 임시사찰 내용 간의 플루토늄 추출량의 불일치, 즉 '과거 핵'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IAEA는 미신고 폐기물 시설 및 방사화학실험실 내 액체폐기물 계측 등을 요구하고 있으나 북한은 경수로 핵심부품 제공 이후에 응하겠다며 거부하고 있다.
/이동준기자 dj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