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5일 마련한 '영재교육진흥 종합계획'은 현재 1만명인 영재교육 대상자를 4만명으로 늘려 각 분야에 뛰어난 잠재력을 지닌 학생들의 영재교육 기회를 대폭 확대토록 하겠다는 게 골자다. 그러나 교육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3월부터 시행중인 영재교육진흥법이 관련 프로그램 및 교사, 판별도구 부족 등으로 제자리를 잡지 못한 상태에서 영재교육 대상자를 크게 늘리려는 것은 예산낭비이자 비효율적인 결정"이라는 지적이 만만치 않아 논란이 예상된다. 일부 학부모들도 "부실한 영재교육 시스템하에서 머릿수만 늘린다고 영재교육이 정착되겠느냐"며 회의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영재 어떻게 뽑나
영재선발은 학과 성적 위주가 아니라 시·도 교육청 및 대학부설 영재센터 등 각 영재교육기관의 장이 영재성을 측정하기 위해 마련한 창의성 평가, 심층면접 또는 실험실습, 캠프활동을 통한 관찰 평가 등 다양한 판별도구를 통해 이뤄진다.
영재교육 신청 학생은 학교장이나 지도교사, 영재교육 전문가 추천을 반드시 받아야 하며 각 영재교육기관은 교사와 전문가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위원회를 구성, 대상자를 뽑는다.
영재교육기관은 신청서 접수 1개월전에 전형공고를 낸 뒤 기관별로 '영재교육 대상자 선정 추천 심사위원회'를 만들어 다양한 절차를 거쳐 영재교육 대상자를 교육감에게 추천하며 교육감이 교육대상자를 최종 선발한다
■문제는 없나
영재교육 대상자 확대의 가장 큰 걸림돌은 행정·재정적 지원 미흡이다. 현재 영재학급을 두고있는 81개교와 교육청 및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영재센터) 등을 합쳐 모두 1만여명의 영재가 교육을 받고 있지만, 운영성적은 낙제점이다.
영재 판별 도구가 부족한데다 영재담당 교사나 프로그램 등 교육기반은 부실하기 짝이 없다. 지난해부터 방학을 이용해 교사 400여명을 10일간씩 교육한 게 고작이고, 교수·학습 자료도 한국교육개발원이 개발한 42종이 전부. 교육청 등이 각 영재교육에 지급하는 교육지원비도 연간 1,000만원에 못 미친다.
이 때문에 창의력이 떨어지는 프로그램 등 수업내용에 실망한 영재들의 '중도하차'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홍원(金洪遠)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은 이날 열린 공청회에서 "각 영재교육기관들의 교육목표가 막연하고 추상적이며 프로그램 질이 떨어지는 것도 풀어야 할 숙제"라며 "이러한 문제점 해결이 선행돼야만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김진각기자 kimj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