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묘제례악의 전 과정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된다.국립국악원은 900년 가까운 전통을 지닌 문묘제례악을 최초로 무대작품화 해 27, 28일 오후7시 국립국악원 예악당에 올린다. 이번 공연에는 중요무형문화재 제85호 석전대제 보존회(지도 권오흥)가 제례 부분을, 국립국악원 정악단(지도 황규남)과 무용단(지도 김영숙)이 각각 음악과 무용지도를 맡고, 연출을 담당한 박재희(성균관대 중국철학과 강사)씨가 공연 전 해설을 통해 관객들의 이해를 돕는다.
문묘제례악은 공자, 증자와 맹자 등 유교 성인과 우리나라의 설총, 최치원 등 명현 16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에서 제사할 때 쓰이는 음악. 매년 음력 2월과 8월에 성균관 대성전에서 연희되어 왔으나 음악, 무용만 공개됐을뿐 제관들의 의례는 비공개로 진행되어 일반인이 관람할 기회가 없었다.
문묘제례악은 5음 음계인 향악 중심으로 전해진 국악 속에서 현존하는 최고(最古)이자 유일한 7음 음계 아악 작품으로 중국에서도 맥이 끊긴 송나라 이전 음악의 원형을 보존한 작품이다. 고려 예종 11년(1116년) 송나라에 갔던 사신들이 돌아오면서 대성아악(大聖雅樂)을 들여온 게 효시. 조선 세종 때 박연이 중심이 되어 원나라의 임우가 쓴 석전악보를 참고로 공자가 살던 주나라의 악제에 가깝게 15개의 곡을 만들었다. 현재는 영조 때에 복구된 6곡이 전해져 내려온다.
음악과 무용 성악 제사가 어우러진 문묘제례악은 단순한 음악이 아닌 산 자와 죽은 자를 이어주는 엄숙한 축제다. 여기에 쓰이는 악기 8종은 쇠 돌 실 대나무 박 가죽 도자기 나무로 제작되었다. 이들은 고대인들이 생각한 완전한 자연을 의미한다. 악기들은 등가(登歌)와 헌가(軒架)라는 두 개의 악단으로 나눠져 각각 대뜰의 위와 아래로 배치된다. 등가는 음려에 해당하는 남려궁을 연주하며 선조들의 문덕을 기리고, 헌가는 양률에 해당하는 황종궁 고선궁을 연주하면서 관악기 타악기가 중심이 되어 선조의 무공을 기린다. 무용도 문무(文舞)는 꿩 깃털과 피리를 가지고 문덕을, 무무(武舞)는 방패와 도끼로 무덕을 기린다. 음과 양으로 상징되는 두 부분을 더하면 무(無)로 돌아가 중용을 상징하게 된다. 이번 공연에서는 공연장 사정으로 악기들이 좌우로 배치될 예정이다.
공연에서 제례 지도를 맡은 권오흥(66) 석전대제 보유자는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제례악의 장엄미를 관객들이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중세의 고급문화를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석우기자 museho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