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에 속했던 무기강국 우크라이나, 벨로루시와 이라크 간 무기 거래를 둘러싼 유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우크라이나, 벨로루시 양국 정부는 "유엔의 대(對)이라크 금수조치에 반하는 불법 거래는 없었다"고 부인하고 있지만 최근 활발해지고 있는 이라크와 양국의 외교관계, 무기 거래 관련 비밀보고서의 잇단 공개 등으로 3국간 무기 거래는 미국·영국이 주도하는 유엔 이라크 무기사찰단의 초미의 관심사가 됐다.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는 21일 "우크라이나 정부가 최근 1억 달러에 달하는 첨단 콜추가 레이다 시스템을 이라크에 넘겨준 혐의가 짙다"고 의혹을 제기하며 "과거 3년 간 두 나라에 대한 이라크 정부의 무기 수입 의존도가 크게 늘었다"고 보도했다.
1991년 걸프전 이전까지 러시아제 무기가 대부분이었던 이라크가 이들 두 나라로 무기수입선을 바꾼 것은 이라크 금수조치 등으로 러시아의 행동반경이 크게 위축된 반면 두 나라는 미국이 주도하는 이라크 제재에서 비교적 자유로웠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군수산업이 국가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두 나라의 경제상황과 구 소련권 국가만이 이라크의 기존 러시아제 무기 부품을 조달할 수 있다는 현실적 여건이 크게 작용했다.
2000년 7월 레오니드 쿠츠마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자기 집무실에서 첨단 레이다 시스템을 이라크에 판매토록 승인했다는 비밀녹음이 미 국무부에 의해 공개됐다. 같은 해 8월에는 러시아제 헬기, 대전차 수류탄, 대공 이동미사일 시스템 등을 이라크 등으로 밀수출하려던 조직이 독일과 체코 당국에 적발됐다. 우크라이나 정부도 "실제 거래가 이루어지지는 않았다"고 부인하면서도 비밀녹음에 대해서는 사실을 시인했다.
이라크는 올 여름 사담 후세인 대통령의 최측근인 모즈하르 알 두리 전 러시아 주재 외교관을 우크라이나 대사로 임명했다.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도 바그다드에서 양측간 대규모 경제교류계획을 발표, 외교·경제적 유대도 급진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중국, 인도 등 메이저 시장에 최첨단 우주항공기술을 내놓는 쪽으로 수출선과 품목을 전환하는 추세여서 재래식 무기 수출에 대한 두 나라의 역할이 커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황유석기자 aquariu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