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유성구 전민동의 바이오벤처단지 '대덕 바이오 커뮤니티(Daedock Bio Community·DBC)'가 한국형 클러스터(cluster·산업집적지)로 주목을 받고 있다. 클러스터란 대기업, 중소기업 등 공급자와 연구소, 대학, 물류, 금융 등 생산지원 시설, 소비자 등이 한곳에 모여 네트워크를 구축, 정보 및 지식의 공유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는 산업 군집지이다.
정부는 이와 관련, 최근 국무회의에서 '산업집적 활성화법'을 통과시키는 등 클러스터를 육성하기위한 대책마련에 나섰다.
DBC는 2000년 6월 인바이오넷 구본탁 사장이 170억원을 들여 구입한 옛 한효과학기술원에 15개 바이오 벤처들이 입주해 형성됐다. 이곳 바이오 벤처들은 연구개발에 필요한 각종 시설과 기기는 물론 인력까지 공유함으로써 독자적인 투자로 인한 위험과 비효율성을 줄이는 등 공동의 발전과 생존을 모색하고 있다.
■해외에서 더 알아주는 DBC
DBC에 대한 관심은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높다. 인바이오넷 구 사장이 최근 말레이시아 정부의 초청을 받아 '바이오 말레이시아(Bio Malaysia) 2002 국제심포지움'에 참석했을 때 마하티르 말레이시아 수상으로부터 "바이오 분야에서 DBC 업체들과 적극적인 협력을 원한다"는 제의를 받았으며 이보다 앞선 6월에는 말레이시아 말라카주지사 일행이 인바이오넷을 시찰했다.
8월에는 카메룬, 가봉, 콩고, 가나, 케냐 등 아프리카 15개국의 경제부처 관료들과 국영기업 대표, 경제기관장 등으로 구성된 경제 사절단이 DBC를 방문, 우리나라의 바이오 기술을 한수 배우고 갔다.
지난달에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바이오 관련 기업인들과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하르트무트 미헬 박사 등이 DBC를 방문해 프랑크푸르트의 클러스터와 공동 연구, 연구원 교환, 기술개발, 세미나 개최 등을 골자로 한 협력 의정서를 체결했다. 독일 바이오테크놀로지 알리앙스의 슈베징허 사장은 "DBC내 개별 기업들의 실력과 협력모델에서 독일과의 합작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밖에 지난 2년 동안 DBC에는 말레이시아, 중국, 싱가포르, 일본, 러시아, 독일, 필리핀,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으로부터 100여명의 공무원과 기업인이 방문했다.
■DBC의 힘
DBC 입주업체들은 말 그대로 공동체이다. 장비와 실험기기, 인력 등은 어느 기업 소속이든 상관없이 입주기업들이 필요하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 업체간의 모든 울타리도 허물었기 때문에 공동 프로젝트가 여느 바이오 단지보다 많다. 인바이오넷과 제노텍, 스몰소프트가 참여한 '생물농약 균주의 유전체 분석을 통한 고효율 생산균주 개발 프로젝트', 인바이오넷, 크리스탈지노믹스의 '세균의 신호전달 교란을 이용한 신개념 생물학적 제어제 개발 프로젝트' 등 20여개 굵직한 프로젝트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 인바이오넷 구 사장은 "DBC와 같은 협력모델은 전세계적으로도 드물게 시도되는 모델"이라며 "선진국에서도 벤치마킹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밝혔다.
/대전=김태훈기자 oneway@hk.co.kr
■ 클러스터란
클러스터는 동종 업종의 기업들과 관련 기관들이 한 지역에 모여있는 이른바 '집적 단지'를 말한다. 예컨데 연구·개발을 하는 대학과 연구소, 생산을 담당하는 기업, 각종 지원기능을 맡는 정부기관, 금융기관, 컨설팅업체 등이 한 지역에 모여 정보와 지식을 공유,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킨다면 클러스터라고 불릴 만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각종 공단이 전국에 산재해 있지만 대부분 생산공장의 단순한 밀집지역일뿐 연구시설이나 정부기관이 함께 입주한 경우는 드물다. 그나마 낫다는 평가를 받는 반월·시화공단조차 대학과 중소기업진흥공단, 기업 등 클러스터의 주요 구성요소를 거의 갖추고는 있지만 입주 중소기업이 대기업의 하청기업화해 독자생존력을 잃었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따라서 클러스터는 기업, 대학, 연구기관, 정부기관, 소비자 등 구성원과 이들을 유기적으로 네트워크화할 수 있는 '기술'이 따라야 성공할 수 있다.
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기업연구소 9,836개 중 42%가 연구원 5명 이하의 영세 연구소로 독자적인 기술개발 능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해 서울 테헤란밸리의 정보기술(IT) 기업 1,700여곳 중 40% 가량이 건물 임대료와 집적효과 부재로 인해 본사를 옮기고 싶다고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한 바 있다.
/김태훈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