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총리 임명동의안 부결에 따른 충격으로 휘청거리면서 힘겹게 사태 수습에 나서고 있다. 수습의 포인트는 언제, 어떻게, 어떤 인물을 후임 총리로 지명하느냐 이다.우선적인 관심사인 후임 총리의 지명 시점은 내주 중이 될 공산이 크다. 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대통령의 지침이 아직 없지만 조급하게 서두를 상황은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당장 주중에 서둘러 후임자를 인선할 분위기는 아니라는 얘기다. 그렇다고 총리 부재로 생긴 국정 공백을 오랫동안 방치할 수도 없는 노릇이어서 내주 중에는 인선 절차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고심거리는 그 동안의 관행대로 업무를 수행하는 총리서리제를 택할 것인지, 아니면 총리 지명자는 국회 임명동의가 끝날 때까지 업무를 하지 않고 대신 부총리가 총리를 대행하는 체제를 가동할 것이냐 이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총리가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외에는 총리 대행을 임명할 수 없다”면서 “총리서리제는 관행적 합법이었다”고 말했다. 총리 서리를 지명하고 그 지명자가 총리 역할을 하면서 국회 임명동의를 받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청와대가 가장 고심하는 대목은 어떤 인물을 내세우느냐 이다. 이재신(李載侁) 민정수석, 박선숙(朴仙淑) 공보수석 등 청와대 인사들은 “거기까지 논의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검토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검토의 방향은 대략 세 가지로 추려볼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명망있는 여성을 후임 총리로 다시 내세우자는 방안이다. 헌정 사상 첫 여성 총리를 만들겠다는 명분을 한 번의 실패로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다. 이는 “장상(張裳) 전 총리서리에 적용한 엄격한 잣대를 그들(정치권)에 대면 살아남을 사람이 몇 명이겠느냐”는 정서를 바탕으로 깔고 있으며 정치권, 특히 한나라당에 선택을 강요하는 압박의 측면도 내포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신선한 이미지 보다는 사회적으로 검증을 거친 인물을 선택, 위험부담을 줄이는 게 좋다는 견해도 만만치 않다. 검증된 인물을 택하는 데는 과거 총리나 그에 준하는 일을 한 거물급을 영입하거나, 아니면 현 정부에서 주요 각료를 역임한 인물을 발탁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전자는 중량감, 중립적 이미지를 줄 수는 있으나 영입이 녹록치 않다는 부담이 있고, 후자는 실무능력과 안정성, 충성을 담보할 수는 있으나 신선함, 무게, 초당파성에서 다소 약한 면을 보일 수 있다.
이영성기자 leey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