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과 민주당의 대선후보 확정으로 대선 정국의 골간이 짜여 졌다. 선거의 해 하반기에 가서 주요정당의 후보가 결정된 1992년과 97년에 비해 2개월 이상 빠르다.제3 또는 제4 후보가 나올 지, 정계개편과 정치권의 이합집산이 있을지, 예측할 수 없지만 분명한 것은 대선정국이 이회창ㆍ노무현, 노무현ㆍ이회창씨를 중심으로 요동칠 것이라는 점이다.
7개월 이상 남은 대선(12월 19일) 기간에도 지방선거(6월 13일)와 8월의 재ㆍ보궐선거(8월 8일) 등 두 차례의 전국규모 선거가 예정돼 있다. 그러나 선거관리의 1차 책임이 있는 김대중 대통령은 아들들 비리로 스스로 레임덕을 재촉하고 있고, 통치권 행사에 힘이 될 정당기반도 버렸다.
대통령의 집권당 탈당은 선거관리의 중립성 강화라는 측면과 책임정치의 실종이라는 양면성을 함께 지니고 있다. 잇단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에 힘의 공백이 생긴다는 것은 낙후된 우리 선거풍토에서 좋은 일만은 아니다.
두 사람은 각각 후보 수락연설에서 집권공약의 대강과 주요 정책을 제시했다. 주요 후보의 대선 정책이 이처럼 빨리 공개되기도 처음이다. 두 후보에 대한 언론과 유관기관의 검증도 사실상 시작됐다. 이 후보는 귀족ㆍ특권층 이미지 때문에 호된 비판을 받았고, 노 후보는 자신의 입으로 말한 여러 문제발언과 성향을 놓고 많은 지적을 감내하고 있다.
두 후보의 대선 행보가 정책대결과 상대방에 대한 건전한 검증 등, 소위 포지티브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는 바탕은 마련돼 있는 셈이다. 문제는 후보와 후보진영의 의지다.
어느 때 보다 장기전이 될 이번 대선은 경제회생이나 국가경쟁력 강화 등 국가 경영에 짐이 되는 방향으로 진행돼서는 안 된다.
그러자면 근거 없는 폭로전과 인신공격, 저질의 정치공방 등 선거전을 네거티브 방식으로 몰고 갈 구태(舊態)가 재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수단 방법 가리지 말고 이기고 보자’는 식의 승리 지상주의는 사라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권자와 국민들이 항상 깨어 있어야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