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규선(崔圭善)씨의 대미로비 공로에 대한 대가로 타이거풀스 주식을 매입했다는 해명은 거짓이라는 포스코 전 임원의 주장이 제기돼 파문이 일고 있다.지금까지 최씨에 대한 ‘포상론’은 “설혹 포스코가 부당한 주식매입 등 책임이 있다 하더라도 김홍걸(金弘傑)씨와는 무관하다”는 주장의 근거로 사용돼왔다. 그러나, 포스코가 특혜의 근거로 삼기 위해 최씨의 실체를 부풀렸다는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기존 주장은 설 자리를 잃게 된다.
실제로 포스코측 해명에는 의문점이 적지 않다. 우선 시점상의 문제. 조용경(趙庸耿) 포스코건설 부사장은 6일 기자회견에서 “최씨가 2001년 초부터 스칼라피노 교수 등 미국 인사들에게 손을 써 둔 덕택에 그해 3월 고율의 관세부과 대상에서 제외됐다“고 해명했으나 이날 본보의 문의에 대해 포스코 관계자는 “미 정부의 공식결정이 내려진 시기는 그해 7월이었다”고 정정했다.
또한, 스칼리피노 교수와 고문계약을 맺은 시기도 역시 7월로 포스코의 주식매입 시점과 한참이나 떨어진다. 물론 사전 내락을 받았을 수는 있으나 실질적으로 공식 결정이 내려지기도 전에 로비대가로 주식을 매입했다는 건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게 대체적인 평이다.
자연스럽게 최씨의 실제 역할에 대해서도 의혹의 눈길이 쏠리게 될 전망이다. 그의 해외인맥은 인정할 부분이 있으나 그렇다고 과연 포스코가 최씨 외에는 아무런 대안이 없을 정도의 회사냐는 게 의심의 요지.
의문을 제기한 김경화 전 UPI부사장도 “미국측의 철강수입규제조치에 대한 입장이 워낙 완강해 지난해 6월 유상부(劉常夫) 회장이 유에스스틸 토마스 어셔 회장에게 부탁을 했으나 통하지 않았다”며 “오히려 이후 본인 등 현지직원이 조지 밀러 하원의원에게 강력히 부탁, 결국 지난 3월 최종 제외결정을 이끌어 낸 것”이라고 최씨 역할론을 부인했다.
이에 대해 포스코측은 “김 전 부사장이 최근 해임된 데 앙심을 품고 본사를 음해하는 것”이라고 강력 반발하고 있다.
결국 타이거풀스 주식 매입의 진상은 금명간 있을 유 회장의 재소환 이후에나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박진석기자
jseo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