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닉스 반도체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와의 매각협상 결렬로 하이닉스 정상화 문제가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 왔다. 하이닉스 이사회는 매각안을 거부하고 독자생존을 대안으로 선택했다.향후 반도체 가격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독자생존이 과연 성공할지 현재로서는 아무도 모른다. 한 달에도 몇 번씩 등락을 거듭하는 반도체 가격을 누구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채권단이 제시한 매각방안을 거부하고 스스로 선택한 결과에 대해 하이닉스 이사회와 주주ㆍ 임직원은 1차적인 책임을 져야한다.
정부와 채권단의 책임도 결코 가볍지 않다. 정부와 주채권 은행이 채권단 전체회의에서 반 강압적으로 잔존법인의 미래가 불확실한 양해각서를 통과시킬 때부터 ‘관치매각’에 대한 이사회의 반란은 예견됐다. 그러나 이미 엎질러진 물이다.
지금은 서로의 잘잘못을 따지기 보다 이해 당사자들이 냉정하게 현실적인 대안을 찾아야 할 때다. 하이닉스 처리방식으로 독자생존 또는 재매각 외에 법정관리와 청산 등이 거론된다.
그러나 마이크론과의 재협상, 또는 제3자 매각 추진은 당분간 실현될 가능성이 희박하다. 매각안 거부로 하이닉스가 금융권에서 추가로 자금지원을 받는 것도 기대할 수 없게 됐다.
그렇다고 채권단이 채권회수에 나서 하이닉스를 부도처리 할 수도 없다. 부도처리 할 것이라면 굳이 불리한 조건을 감수하고 마이크론에 하이닉스를 매각하기 위해 시간을 낭비할 이유도 없었다.
채권단이 마이크론 측에 제시했던 채무 경감안을 하이닉스에 적용하는 것도 현실적인 대안 중의 하나일 것이다.
마이크론이 인수할 경우 탕감해 주기로 한 부채를 하이닉스에 못해 줄 이유가 없다. 최선의 생존의 길을 찾으려면 하이닉스와 채권단의 긴밀한 협의가 필요하다.
하이닉스 문제는 단순히 채권단의 채권 회수차원이 아닌, 국가경제적 입장에서 접근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