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평양의 인민문화궁전에서 열린 임동원(林東源) 특사와 김용순(金容淳) 노동당 대남비서의 회담은 미국의 대북 강경책으로 조성된 한반도 위기 상황에 대한 남북의 인식차를 좁히기 위한 자리였다.정부 소식통은 “임 특사가 정세 전반에 대해 설명하고 김 비서는 주로 듣는 입장이었다”면서 “한반도 안보 환경이 위기라는 데는 이견이 없었다”고 전했다.
두 사람은 1934년 생으로 동갑에 고향(평안도)이 같은데다, 2000년 정상회담 때부터 양측 최고위층의 의중을 교환하며 호흡을 맞춰왔다.
임 특사는 2월 한미정상회담 내용,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의 대북인식 등을 언급하며 지난해 9ㆍ11 테러 이후 급변한 국제정세에 대한 이해를 촉구했다.임 특사는 안보위기를 막기 위해선 북미 대화가 재개돼야 하고,특히 1994년 제네바 합의는 반드시 유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또 남측은 경수로 사업비의 70%(약 30억달러)를 부담하는 약속을 지키고 있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김 비서는 북측은 제네바 합의를 이행했으나,미국이 경수로 건설을 미루면서 조기 핵사찰을 강요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한 것으로 전해졌다.김 비서는 또 북미대화는 전제조건 없이 재개돼야 하지만,경수로 지연에 따른 전력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 특사가 제네바 합의를 되살리기 위해 어떤 비전을 제시했는지,김 비서가 북미대화를 재개하겠다는 언질을 주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다만 임 특사가 북한의 조기 핵사찰 수용과 북한의 전력보상 사이의 간극을 남한이 메우는 '적극적 처방'을 제시했을 가능성은 있다.정부 관계자는 "북한 핵 위기에 대한 대응책으로,남한이 약속했다가 미국의 반대로 무산된 대북 전력지원과 각종 남북한 경제협력 사안을 북한의 조기 핵사찰 수용과 연계하는 방안이 검토된 바 있다"고 말했다.
이날 김보현 국가 정보원 3차장과 북측 임동옥 노종당 통일전선부 부부장은 별도로 실무접촉을 갖고 임 특사의 김정일 국방위원장 면담 일정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동준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