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모(偏母)ㆍ편부(偏父) 가정 등 이른바 ‘해체가족’이 100가구 중 6.7가구 꼴인 것으로 조사됐다.이들 해체가족은 가족으로서의 역할과 기능도 일반가구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돼 사회적인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승권(金勝權) 박사팀이 22일 공개한 ‘최근 가족해체의 실태와 정책방안’에 관한 논문에 따르면 국내 해체가족 규모는 전체 1,431만2,000여 가구 중 96만7,500여가구로 6.76%였다.
해체가족 중 편모는 48만9,600가구(51%), 미혼이나 노인단독을 제외한 1인 단독 31만3,400가구(32%), 편부 13만4,400가구(14%), 소년ㆍ소녀가장 등 기타가 3만가구(3%)로 나타났다.
가족해체의 원인으로는 사망이 60%, 이혼ㆍ별거ㆍ가출이 40%를 차지, 부부 결별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편부가구는 이혼 등 의도적 결별이 주원인(75.6%)인 반면 편모가구는 사망(67.5%)이 주요 원인이었다.
이혼ㆍ별거의 주원인은 배우자의 부정행위(31.8%), 성격결함 등 정서적 책임감부족(30.5%), 경제적 부양의무 부족(18.5%)의 순이었으며 가정폭력ㆍ학대도 6.9%를 차지했다.
경제ㆍ정서적 부양과 신체부양 등 26개 항목을 설문조사해 점수화(100점 만점 기준)한 가족기능수행은 일반가구는 61.89점인데 비해 편모(51점), 편부(49.33점), 기타 해체가족(42.02점)은 크게 낮았다.
특히 가족들의 여가ㆍ휴식기능은 1점대(5점 만점 기준)의 낮은 수준이어서 가족유대를 해치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정진황기자
jhchu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