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조직위원회 집행부가 내분에 휩싸여 있다는 보도는 많은 사람들을 실망시킨다.대사(大事)를 불과 6개월도 채 안 남긴 시점에서 들리는 파열음은 대회의 성공적 운영을 걱정케 한다.
이 사태가 더 우려할 정도로 확대되지 않도록 정부나 조직위지도부는 다시 한번 자세를 가다듬기 바란다.
특히 공동조직위원장 체제가 삐걱거리는 모습은 조직위의 원만한 운영은 물론, 국제적으로 개최국의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행위다.
최근 지난 1일 조 추첨행사 준비과정에서 나온 갈등은 표면적으로 드러난 것이지만, 정몽준 이연택 공동위원장 체제가 들어선 후 긴장과 알력은 보이지 않게 존재해 왔다고 한다.
두 위원장의 서명을 받아야 하는 조직위의 운영이 최근엔 문광부가 나서 조정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한다.
이 같은 조직위의 내분은 정부가 불러들인 꼴이다. 애초 우리는 월드컵조직위원장의 쌍두체제를 반대했다.
이유는 이 같은 내분사태를 예상했기 때문이다. 조직위원장이 누가 되든, 한 사람이 돼야 책임소재와 조직관리 등이 명료해질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정부가 공동위원장 체제를 밀어붙였고 오늘의 상황에 이르게 된 것이다.
공동위원장은 시너지효과를 노리는 시민운동같은 조직에서나 필요한 것이지, 시계바늘처럼 돌아가야 하는 월드컵조직위원회에 맞는 체제가 아니었다.
당초 공동위원장제의 채택을 두고 일부에서는 특정인사를 위한 위인설관이란 비판도 있었다.
따라서 이번 조직위 내분사태는 정부의 잘못된 정책판단의 소산이라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문광부 장관이 두 위원장과 자리를 함께하며 갈등을 풀어볼 모양이다.
우선은 화해를 권고하고 업무분담도 국내와 국외로 나누는 지침까지 마련했다고 한다. 그러나 세계축구연맹(FIFA)의 철저한 위임아래 움직이는 조직위의 특성상 업무분담이 완전한 해결책일지는 미지수다.
차제에 우리는 일본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일본의 월드컵 조직위는 민간주도형으로, 우리의 정부주도형과는사뭇 다르다.
제도가 일을 능률적으로 하도록 만들고 있다. 스포츠 제전을 민간주도형으로 성공시킨 것은 1984년 LA올림픽이 모범적인 사례다.
그 후 스포츠 이벤트는 경영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흑자사업이 가능함이 입증됐다.
권력과 스포츠가 한데 묶여 돌아가는 우리의 구태에 일대 자성이 있어야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