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자원부가 기여입학제의 단계적 도입을 교육인적자원부에 요청했다.이는 이 제도의 도입 가능성 여부를 떠나 우리 사회의 현실과 미래를 생각할 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산자부는 이공계 기술인력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 기부금을 이공계 장학금과 시설확충에 사용한다는 전제 아래 단계적 도입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최근 우수 인력의 이공계 진학 기피와 기업 수요에 동떨어진 대학 교육때문에 앞으로 5~10년뒤 기술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산자부가 얼마나 위기감을 느껴 이 같은 요청을 했을 것인가를 고려하면 문제의 심각성을 이해할 수 있다.
향후 새로운 지식기반경제를 이끌어 갈 5대 핵심 기술산업을 선정하고, 이에 대해 집중 투자할 방침이라고 정부는 수 차례 강조했다.
앞으로 우리 경제가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핵심 기술산업의 발전이 불가피하다는 점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이를 이끌어갈 핵심 요소인 인력이 부족하다는 데 문제가 있다.
단기는 물론이고 중ㆍ장기적인 수급 전망이 밝지 않다. 우선 우수 인력의 이공계 진학 기피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1997년까지 40%에 달했던 자연계 수험생 수는 점차 떨어져 2002년 입시에서는 27%로 인문계 지원자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이 같은 현상은 앞으로 더 심화할 전망이다. 이로 인한 고교에서의 과학 교육 붕괴와 이공계 대학생들의 실력 하락, 기술 인력의 수준 저하 등이 우려된다.
이러한 악순환이 이어져 '기술 한국'은 설 자리를 잃게 되고, 산업 공동화현상은 가속화할까 걱정이다.
생명공학 분야의 경우 향후 10년간 60~70% 가량의 인력 부족을 예고한 보고서도 있다.
젊은 이들의 이공계 기피 현상은 우리에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미국 일본 등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우리 경제ㆍ사회 수준에 비추어 보아 우리는 아직도 상당 기간동안 과학 기술 인력이 필요하다.
이공계 기피는 대학 진학 문제 못지 않게 이공계 출신에 대한 뿌리 깊은 잘못된 인식에 기인한다.기술자 과학자가 우대받는, 아니 최소한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지 않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이를 해결하는 첩경이다.
정부와 기업은 말로만 기술자우대를 외칠 것이 아니라 인사나 대우 등에 있어 실질적으로 우대받을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