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장…기무사 부대…이번엔 버스차고지“화장장 후보지였다가, 기무사가 옮겨온다더니 이제는 공영 버스차고지라니. 무슨 땅의 팔자가 이렇게도 기구하단 말인가”(내곡동 안골)
“서초구 내곡동 그린벨트는 먹던 떡인가? 이놈도 뜯어먹고 저놈도 뜯어 먹는다”(내곡동)
서울시청 홈페이지(www.metro.seoul.kr)의 시민자유토론에 서초구 네곡동 주민들로 추정되는 네티즌들의 항의가 쏟아지고 있다.
개발제한구역인 내곡동에 공영 버스차고지가 추진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서울시는 최근 서초구에 원지동 추모공원 건설 계획과 함께 내곡동 266 일대 5만3,100㎡ 부지에 공영 버스차고지를 건설하는 내용의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공람공시를 지시했다.
내곡동은 원지동과 함께 추모공원 후보지중 하나였고 기무사령부가 부대 이전을 추진했던 곳이다. 기무사가 국가정보원의 텃세에 밀려 이전을 포기한 것이 바로 이달 초였다. 그런 곳이 공영버스차고지 예정지로 탈바꿈하자 서초구청ㆍ구민이 경악하고 있는 것이다.
강남ㆍ서초권 공영 버스차고지는 당초 1996년 강남구 세곡동 일대에서 건설이 추진됐으나 강남구청ㆍ구민의 반대에 밀려 표류해왔다.
강남구에서 ‘노’(no)한 버스차고지를 이제 와서 내곡동에 짓겠다니 서초구측에서 발끈할 수 밖에 없다.
서초구 관계자는 “강남구에서 밀어낸 혐오시설을 왜 우리에게 떠넘기려 하느냐”며 “가뜩이나 추모공원 문제로 구민 볼 낯이 없는데, 버스차고지라니…”라며 분통을 터뜨렸다.
서초구는 부지선정 절차상의 문제를 제기하고 주민들의 반대의견을 건설교통부와 시에 전달할 방침이다.
서울시도 쉽게 물러서지 않을 태세다. 공영 버스차고지 건설은 서울을 7개 권역으로 나눠 1994년부터 추진했던 사업이기 때문이다.
은평차고지는 이미 완성됐고 강동, 송파는 내달 완공된다. 또 양천, 중랑은 도시계획시설결정 고시가된 상태로 설계 용역중이다.
남은 것은 구로와 서초뿐이라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시는 주택가에 흩어져 있는 버스 차고지를 권역별로 한데 모으면 노선 조정이나 공동배차제 등 ‘버스 공영화’를 앞당길 수 있게 된다는 논리로 설득중이다.
해당 주민들이 문제삼는 매연도 차고지가 완성될 때(2004년)면 대부분 차량이 천연가스(CNG) 버스로 대체된다고 반박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구청의 동의가 없으면 시가 사업을 밀어붙이기 힘든 게 현실이다.
구청장이 개발제한구역내 행위허가권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두 관청이 지루한 싸움을 벌이면 대중교통망 개선사업만 늦어져 시민불편만 늘어난다.
이성원기자
sungw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