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개편에서 기본적인 포인트는 시기와 폭이다.청와대 박준영(朴晙瑩) 대변인은 4일 “상황이 갑작스럽게 전개돼 시간이 필요하지만 국정운영에 공백이 있어서는 안되기 때문에 주내에 마무리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시기는 대략 7일 전후일 가능성이 높다.
개편의 폭은 DJP 공조가 붕괴되는 사태까지 벌어진 상황을 감안하면, 대규모일 수밖에 없다.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인사로 국면을 전환하는 스타일이 아니지만, 때가 때인지라 전열을 가다듬고 민심을 쇄신하는 차원에서 큰 폭의 인적 쇄신이 불가피하다.
당정, 청와대 개편의 핵심은총리, 대표, 비서실장 등 이른바 빅3로 불리는 세 자리다. 쇄신이 필요한 지금의 흐름에서 보면 빅3 중 두 자리는 바뀔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그러나 김 대통령이 모양새 보다는 안정성이나 효율성을 중시할 경우에는 세 자리 중 한 자리만 교체될 수도 있다.
김중권(金重權) 민주당 대표는 정치적 책임을 지는 차원에서 교체가 확실하다.
이한동(李漢東) 총리는 유임이 유력시되나 면모 일신을 위해서는 교체해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고 본인의 의사도 변수다.
한광옥(韓光玉) 비서실장의 거취는 총리의 유임 여부와 맞물려 있어 유동적이다.
내각 개편은 조각 수준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일단 대폭쪽에 무게가 실려있다. 면모 일신에 비중을 두면 일단 모두가 대상이 된다.
그러나 업무 효율성, 임박한 국정감사 준비등을 고려하고 3ㆍ26 개각 때 기용된 비정치인 장관들을 제외하면 7~8자리 정도의 교체가 예상된다.
우선 자민련 출신의 자리인 농림 건교 해양수산부에 다경제부처 중 2자리 정도가 교체될 전망이며 김한길 문화관광부장관은 서울 구로을 출마를 위해 바뀔 수도 있다.
사회, 행정 관련 부처에서 1~2자리도 교체 대상으로 거론된다.
당은 대표와 3역이 전부 교체될가능성이 많다. 당무 거부 파문, 표결 문제, 내부 분란 등으로 분위기 쇄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청와대 비서실도 일부 교체가 예상되며 몇 몇 수석들은 내각으로 자리를 옮길 것으로 전망된다.
통일부나 문화관광부 장관에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던 청와대 인사들의 발탁가능성이 점쳐진다.
이영성기자
leeys@hk.co.kr
■비서실장 거취 엇갈려
청와대 한광옥(韓光玉) 비서실장의 거취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린다. 한 실장이 잡음 없이비서실을 통할했고 대통령의 의중에 정통하다는 점에서 유임론이 우세하다.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과도 두루 좋은 관계를 맺고 있어 향후 정국에서 난관이생길 때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도 유임론의 근거다.
새롭게 전개될 여소야대의 정국, 정기국회를 무난히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한 실장이 적임이라는 평가가 많다.
그러나 최근 사태에 정치적 책임을 지는 모양새를 만들고, 국면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한 실장이 물러나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이 경우 후임의 1순위는 박지원(朴智元) 정책기획수석이다.
박 수석이 남북 대화의 연속성, 효율적 추진을 위해 통일부장관으로 갈 경우 남궁진(南宮鎭) 정무수석이 발탁될 가능성도 다소 있다.
이영성기자
leeys@hk.co.kr
■黨대표 '대선주자' 배제
핵심부에서 나오고 있는 민주당 대표 인선 기준 중 첫째는 차기 대선주자급 인물의 배제이다. 당에 분란을 초래할수 있기 때문이다.
‘관리형 대표론’이 힘을 얻는 요인이다. 이에 따라 대선주자급인 한화갑 이인제 박상천 김근태 최고위원과 노무현 상임고문등은 가시권에서 멀어지는 분위기다.
지역 고려 차원에서 가급적 호남 출신은 피하겠지만 총리와 청와대 비서실장이 비호남이면 당 대표는 호남이 될 개연성도 있다.
또 여소야대 상황을 효율적으로 타개해 나가려면 원내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다.
이 같은 기준들을 대입해보면 관리형 중 비호남출신으로 김영배 조세형 전 총재대행과 장을병 최고위원, 호남출신으로는 김원기 최고위원이 물망에 오른다.
원내인 김영배 전대행과 김원기 최고위원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
신효섭기자
hsshi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