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적 성수기인 가을철 부동산 시장을 겨냥해 이동식 중개업자(일명 ‘떴다방’)들이 다시 기승을 부리기 시작했다.이들은 물량을 싹쓸이한 후 턱없이 값을 올려 되파는 수법으로 실수요자에게 피해를 안기는가하면, 일부는 폭력배와 결탁(본지 3일자 31면)해 완력까지 행사하고 있다.
■어떤 수법을 쓰나
떴다방의 가장 고전적인 수법은 인력을 동원해, 분양권가격을 부풀린 뒤 실수요자에게 되파는 ‘치고 빠지기’. 가급적 물건을 많이 확보할수록 시장을 지배할 수 공산이 크기 때문에 청약통장이 필요한 아파트보다 청약자격이 따로 없는 주상복합아파트 분양으로 몰리고 있다.
이 과정에서 물량 확보를 위한 인력 동원은 예사다. 지난 달 31일 주상복합아파트 ‘갤러리아팰리스’의 견본주택이 있는 서울 청담동 일대는 며칠 전부터 떴다방들이 동원한 인력 100여명이 몰려 실수요자와 행인들에게 큰 불편을 끼쳤다.
특히일부 업자는 폭력배를 동원해 먼저 줄을 서 있던 청약수요자에게 폭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치고 빠지기’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주식시장의시세조작 행위처럼 조직적으로 ‘작전’을 구사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떴다방 재등장 배경
국제통화기금(IMF) 직후 사라졌던 떴다방들은 정부가1998년 건설경기 부양을 목적으로 아파트 분양권 전매를 허용하면서 재등장했다.
특히 지난 해 하반기부터 청약률을 부풀려 시중 부동자금을 잡으려던시행사들과 건설업체들이 이들의 활동을 묵인하고 심지어 조장까지 하면서 더욱 활개를 치기 시작했다.
일부 주상복합 아파트 시행사는 인기도를 부풀리고 과시하기위해 분양방법에 ‘선착순’을 도입해 과열을 부추기기도 했다.
특히 6월 분당 백궁ㆍ정자지구에서 분양을 마친 D건설의 W주상복합아파트 처럼 시행사가떴다방 업자들의 명단까지 확보해가며 투자설명회에 끌어들이는 경우도 있었다.
■근원적 대책마련 시급
최근 분양을 앞두거나 시작한 일부 건설업체들이 인터넷청약,사전청약, 청약조건 제한 등을 내세워 떴다방 방지에 나서기 시작했다.
이들을 동원해 인위적으로 청약률을 올리려다 오히려 실수요자들이 계약을 포기하는바람에 미분양이 속출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나타났기 때문.
하지만 전문가들은 업계의 노력 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지적한다.업체가 떴다방 소탕에 나선 것은 결국 이익극대화가 목적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입장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택촉진법을 적용 받지 않는아파트에도 추첨 분양제를 의무 도입하거나 분양권 전매제도를 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LG경제연구소 김성식박사는 “분양권 전매 허용은 외환위기직후 중도금을 내지 못하는 실수요자들과 이 때문에 자금난에 빠진 업체들을 살리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므로 그때와 사정이 달라진 점을 감안해 정책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황종덕기자
lastrada@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