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불황의 급류에 휘말린 유럽경제가 대응책을 찾지 못한 채 ‘미아(迷兒)신세’가 되고 있다.실업악화 등 경기침체 조짐이 뚜렷하지만 독일을 비롯한 중심국가에서 인플레양상이 계속되고 있어 금리인하 등 부양책을 단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프랑스 등 일부국가에서는 선거가 다가오고 있어 물가폭등을 우려한 경제당국이부양책을 쓰지 못하고 손발이 묶여있는 상태다.
유럽 경제는 연초만 해도 고용증가세가 계속되는 등 미국ㆍ일본과 달리 견실한성장을 거두리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현재는 미국의 경기둔화가 파급되면서 소비심리가 극도로 위축됐다.
특히 제조업 구매(PA) 지수와 산업생산,실업률, 기업투자, 소비 등 경제 전반의 여건이 악화되면서 올해 경제성장률이 2.5%대로 낮아질 전망이다. 당초 3.4%로 전망된 유럽의 경제성장률은이미 6월 3% 내외로 하향조정된 바 있다.
이 때문에 상반기만 해도 “유럽은 주로 국내 경제여건에의존하기 때문에 미국 경제 침체에 크게 영향받지 않을 것”이라고 장담한 빔 두이젠베르크 유럽중앙은행(ECB)총재에 대한 신뢰가 사라지고 있다.
실제 유럽 각국의 PA 지수는최근 4개월째 연속 감소, 지난달에는 평균 47.3로 떨어져 1998년 12월 이후 최저치(최고 지난해 2월 60.8)를 기록했다. PA 지수가50을 넘으면 성장세를, 50 미만이면 위축세를 나타낸다.
유로화권 12개국의 산업생산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최고 1.3% 감소세를보이고 있다. 12개 국가의 6월 실업률은 5월에 이어 8.3%대를 겨우 유지했지만 7월을 고비로 상승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유럽 경제의 엔진인 독일의 경우 정부가 2%대의 성장을 전망하고 있지만경제단체들은 성장률이 고작 1% 남짓할 것이라는 비관론을 내놓고 있다. 실업률도 8.9%(370만명)에 달해 내년 가을 총선때까지 350만명으로줄이겠다는 정부의 공약이 무색해졌다.
지난해 3.4%의 성장률을 보인 프랑스도 6월 실업률이 8.8%로 늘어났으며 올해 성장률도 2.3%에 그칠전망이다. 프랑스는 특히 지난해 세수 잉여분을 소비촉진에 사용한데다 경기침체로 세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올해 재정적자가 당초 예상의 10배 가까운2,160억프랑에 달할 전망이다.
그런데도 ECB는 조기에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있다. ECB는 2일 소집된 통화정책이사회가 아닌 30일의 차기 이사회에 가서야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ECB는 국제사회의끈질긴 압력에도 불구, ‘물가유지’가 통화정책의 최우선 목표라며 5월 이후 4.5%를유지하고 있다.
이종수기자
js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