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경제를 배우러 북한 대표단이 베트남에 온다면 식량자급을 이룬 농촌을 보여주고 싶다. 또 자유롭게 거래하는 활기찬 베트남의 시장도 보여주고 싶다”1986년부터 ‘도이 모이’ 정책에 따라 시장경제를 도입해 온 베트남 투자계획부 산하 개발전략연구소(DSI) 루 빅 호 소장은 지난달 17일 기자와 가진 인터뷰에서 시장경제만이 번영의 유일한 길임을 강조했다. 그는 자본주의 도입에 따른 부작용은 불가피한 산물임을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_베트남 통일 후 주민 통합 과정은.
“남북 베트남인들의 대화합 정책이 시급했다. 우려했던 정치적 보복은 없었다. 이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_베트남은 어떠한 발전 비전을 갖고 있나.
“80%에 달하는 농업인구 비중을 줄일 것이다. 노동집약적인 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 20년 후 베트남은 한국의 80년대 중반 정도가 될 것이다. 현재 400달러인 1인당 GNP도 4배 정도 성장할 것이다.”
_개발 과정에서 부정부패 문제가 심각한데.
“공산당과 정부는 단호하게 이 문제에 대처하고 있다. 부정부패를 없애기 위해서는 민주적 시스템, 즉 국민의 감시가 필요하다. 언론의 역할도 중요하다. 정부와 당이 언론보도 내용을 수용해 시정하고 있다. 문제의 본질은 권력의 집중이 부정부패를 낳는다는 것이다. 권력 분산도 논의될 수 밖에 없다.”
_자본주의 도입에 따라 젊은층의 탈선, 자유분방함이 문제되는데.
“당초 이런 부정적 요소를 허용하겠다는 의도는 없었지만 현실적으로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우리가추구하는 국가는 자유롭고 풍요로운 국가다. 일률적인 평등 국가가 아니다.”
_북한이 변화를 한다면 시급히 손 댈 부분은 어떤 것인가.
“베트남과 상황이 다르지만 베트남을 배울 필요는 있을 것이다. 어느 나라든 시장경제를 통해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시장경제를 받아들였지만 도입 후 풍요로운 사회건설을 위해서는 이 길을 걸을 수 밖에 없음을 깨달았다. 그리고 민주화가 필요하다. 국민이 우선돼야 한다. 이러한 것들을 북한도 답습해야 한다. 사회주의란 국민을 잘살게 하는 것이어서 방법에 얽매이는 것은 옳지 못하다.”
-최근 남북관계에 대한 평가는.
“지난해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남북한은 현실에 부합하는 통일방안을 찾아야 한다. 경제력이 부합해야 통일이 된다는 가정은 타당치 않다고 본다. 양쪽이 모두 통일을 필요로 해야 통일이 될 것이다.”
/하노이=이영섭기자young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