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현재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금강산 관광사업을 현대외에 공기업인 관광공사 등이 참여하는 컨소시엄 형태로 전환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한다. 위험을 분산시키고 채산성을 제고, 안심하고 대북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남북한 화해와 협력의 상징인 금강산 관광사업은 어떤 일이 있어도 중단할 수 없다는 믿음이 깔려 있다.
이 구상은 안팎으로 어려운 현대그룹에 더 이상 이 사업을 단독으로 맡기기에는 부적절하다는 판단 끝에 내린 결론인 듯 싶다.
지금까지 개별기업에 맡겼던 대북경협 사업에 공기업까지 참여토록 함으로써 금강산 관광사업은 이제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 셈이다.
그러나 정부측의 구상이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선행조건이 충족해야 한다. 첫째로 북측이 조기에 육로관광을 허용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단상태에 있는 북측의 경의선 연결공사 재개와 함께 육상도로 공사도 즉각 착수해야 한다.
정부는 육로관광만 이뤄지면 채산성이 생기고 컨소시엄 참여 기업들이 나올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하기야 1년에 설악산을 찾는 사람들의 10%만 개성을 찾는다면 가능한 일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금강산 사업대가의 현실성 있는 재조정 필요성이다. 오늘 시작되는 북측과 현대와의 협상에 눈길이 가는 이유다.
개성 등 의 육로관광 사업권의 주체가 누구인지도 불투명한 실정이다. 이 부분 역시 명백히 할 필요가 있다.
거듭 지적하지만 금강산 관광사업은 지속해야 한다. 그 것이 컨소시엄 형태이든, 아니든 간에 민족적 화해의 상징이라는 사실에 정치권도 공감해야 할 줄 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