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당사상의 종주국인 중국의 장묘제도 혁명은 아무리 굳은 관습과 관행이라도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명당에 부모 묘를 쓰고 호화롭게 단장하는 것을 후손의 도리로 생각한 유교 사상의 영향으로, 중국은 1950년대 남한 면적보다 넓은 땅이 묘지로 뒤덮였었다.
중국 공산당은 이 문제를 풀지 않고는 혁명이 어렵다고 판단, 강력한 장묘제도 개혁을 추진해 화장률 100%라는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
■성공의 열쇠는 지도층의 솔선수범에 달렸다고 믿은 공산당 정권은 56년 공산당원을 대상으로 강력한 화장정책을 실시했다. 마오쩌둥을 제외한 모든 지도자들이 사후 화장되었다.
덩샤오핑은 유골이 바다에 뿌려졌다. 화장제도는 급속히 뿌리 내려 누구나 화장되어 1~2㎡ 정도의 땅이나 납골당에 유골이 안치된다.
그것으로도 모자라 최근에는 유골 남기지 않기 운동에 열중이다. 뼈 가루를 산야에 뿌리는 유골림 조성정책이 그것이다.
■우리는 그것이 영원히 불가능할 줄 알았다. 그러나 근래 소리 없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30%대에 머물던 서울의 화장률이 근래 50% 선을 넘어섰고, 이 바람은 빠르게 지방으로 번져가고 있다.
묘지난이 심한데다 불편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재래식 장묘제를 고집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조사에 따르면 서울시민 85%가 화장과 납골을 바람직한 장묘제도로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제도와 시설이 이 변화를 따라가지 못한다. 지금 서울에 있는 화장과 납골시설만으로는 태부족이다.
그것을 혐오시설로 여기는 인식에도 아무 변화가 없다. 서울시는 문화ㆍ체육시설을 고루 갖춘 쾌적한 추모공원을 만들겠다고 말하지만 주민들은 어쨌든 우리동네 가까운 곳은 안 된다고 반대한다.
대규모 시설만 고집할 일이 아니라, 지역별로 여러 개의 작은 시설을 만들고, 종교시설을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해 보면 어떨까. 변화의 원동력은 발상의 전환이다.
/문창재 수석논설위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