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모습을 드러낸 정부주도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 경영진 구도는 '화합을 위한 과도체제'로 평가될 수 있다.2~3명을 제외하고는 민간 출신이 대거 포진함으로써 '정부 간여 배제' 원칙이 어느정도 지켜졌고, 출신지역안배에도 신경을 쓴 흔적이 역력하다. 개혁성 보다는 내부 화합에 더 초점이 맞춰졌다는 점에서 출범 초기 1년여간 한시적인 경영진 구도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자회사 은행 경영진 인선의 가장 큰 특징은 민간 출신 인사들이 대거 발탁됐다는 점.
재정경제부와 금융감독원에서 상임감사위원 자리를 하나씩 차지하기는 했지만 이를 제외하면 거의 모든 임원이 금융기관이나 업계 출신이다. 광주은행 노조가 이날 '관치 인사'라며 주총 개최를 막기도 했지만 "지주회사 운영에 정부가 간여하지 않겠다"던 원칙이 최대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이번 인선에서는 윤병철 최고경영자(CEO) 내정자의 '입김'이 크게 작용했다는 후문. 윤 내정자가 장기신용은행에서 근무할 당시 한 솥 밥을 먹었던 황석희씨와 강신철씨가 각각 평화은행장과 경남은행장에 선임된 것은 이를 여실히 보여준다.
엄종대 광주은행장까지 포함해 국민은행 출신이 3명(장은 출신 포함)이나 자회사 은행장에 발탁돼 눈길을 끌기도 했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자회사 은행장 직을 강력히 희망했던 몇몇 인사들이 윤 내정자의 거부로 탈락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개혁성이나 능력 위주의 인선이 아니라 화합과 통합에 초점이 맞춰진 인선이라는 평가가 내려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빛은행장이 서울, 평화은행장이 강원, 광주은행장이 광주, 경남은행장이 부산 출신이라는 점에서 지역 안배도 적절히 고려했다는 평이다.
하지만 이번 인선은 지주회사의 본격 출범 때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될 '과도 체제'라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 어짜피 내년 6월이면 통합이 이뤄지기 때문에 한빛은행장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은행장 자리에 무게 있는 인물을 앉히기 어려웠다는 분석이다.
금융계 관계자는 "자회사 경영진 인선으로 볼 때 향후 경영에서 윤 내정자의 영향력이 막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일사불란하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자율성이 침해될 소지도 있다"고 말했다.
이영태기자
yt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