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은 3ㆍ1절 기념사를 통해 "일본이 올바른 역사인식을 갖고 이웃 나라들과 미래지향적 우호 협력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문제에 대한 완곡한 주의 환기다. 보다 강도 높은 유감표명을 기대했던 국민들은 다소 실망하는 표정이다.
그러나 김 대통령의 '주의환기'를 시발로 정부가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문제에 적극 대응의 자세로 전환하고 있음은 그나마 다행이라 할 수 있다.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번에 확실하게 매듭을 짓지 못하면, 이런 일은 10년, 20년 뒤 또는 우리 후손 대에서도 계속 이어질 것은 뻔하다.
남의 나라 국민정서를 탓할 필요는 없겠지만, 일본 사회에는 역사에 대해 불완전한 인식을 공유한 사람이 적지 않다.
이런 연유로 일본이 경제대국에 걸맞게 정치대국 등으로 발돋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지적도 있다. 과거사에서 교훈을 찾지 못하는 사회를 문명사회라 할 수는 없다.
과거사 문제를 매듭짓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부의 대처 자세다. 일이 터질 때마다 시민ㆍ사회단체의 집회나 시위 등 한바탕 푸닥거리의 형태로 국민정서를 위무하는 식으로 이어가게 할 수는 없다.
이번에야 말로 과거사 문제에 쐐기를 박겠다는 자세로 임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정부가 외교부 한개 부처에 국한하지 않고, 정치 문화 사회 등 범 정부적 차원으로 대응의 지평을 넓힌 것은 평가할 만하다.
역사 교과서 문제는 더 이상 남의 나라 내정이 아니다. 일본 내 우익세력은 내정간섭이라고 강변하지만, 사리에 맞지 않다.
일본의 한반도 침략과 식민지 병탄의 역사는 유감스럽게도 우리의 불행했던 과거사다. 우리의 역사이기도 한 식민지사의 바른 기술요구를 내정간섭이라고 할 수는 없다.
지금 정부가 최우선적으로 할 일은, 확실한 목소리로 일본의 역사 교과서 검정에 주의를 환기시키는 일이다. 일본은 검정의 주체가 문부성임에도 '민간 검정'임을 내세워 비켜가려 하고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