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내 가족의 생사확인을 요청할 경우 100명중 75명 정도만이 재북(在北) 가족 생사를 알 수 있으며, 생존이 확인된 재북 가족은 평양에 거주하고 교수 등 고위직에 종사할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통일부는 29일 3차 이산가족 방문단 후보명단 교환(31일)을 앞두고 이 같은 내용의 지난해 1, 2차 이산가족 방문단 분석자료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두 차례 방문단 교환을 통해 남측의 생사 확인 의뢰자 400명 중 300명(75%)만이 재북 가족의 생사를 확인했고, 북측 의뢰자 400명 중 393명(98.3%)이 재남(在南) 가족들의 생사를 확인했다. 북측 당국의 생사확인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남북 적십자사의 생사확인 작업 결과를 보면 한적은 재남 가족 2,827명을 상대로 작업을 벌여, 생존자 1,313명(46.4%) 사망자 1,319명(46.7%) 등을 확인하고 195명(6.9%)에 대해서는 생사여부를 확인하지 못했다.
반면 북한 적십자회는 2,281명 중 생존자 584명(25.6%), 사망자 834명(36.6%)을 확인했으나 863명(37.8%)의 생사 여부를 알려오지 못했다. 결국 재남 가족 생존율이 재북 가족에 비해 1.8배 높은 셈이며, 북측의 생사확인 불능률은 남측에 비해 5.5배 높은 것이다.
이 같은 생사확인 작업을 통해 서울에 온 북측 가족 140명의 직업을 보면 교수ㆍ연구사(39명)가 가장 많았고, 사업소 지배인(15명), 의사(12명), 예술가(8명), 당 간부(8명), 언론인(7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대부분은 또 평양(77명) 함흥(8명) 원산(7명) 사리원(5명) 등 대도시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두 차례 방문단 사업의 경우 시범적 사업으로 북한 지도층인사가 대거 포함되어 있어 일반화할 수는 없으나 향후 이뤄질 생사확인 결과, 3차 방문단 교환에서 중요한 참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섭기자
young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