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소각장과 매립장 등 폐기물시설이 환경오염을 우려하는 주민들의 외면으로 전국 곳곳에서 집단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는 가운데 인접한 기초자치단체가 생활쓰레기 소각시설과 매립시설을 상호교환 설치하여 공동 사용키로 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20일 구리시에서는 임창열 경기도지사가 참석한 가운데 박영순 구리시장과 김영희 남양주시장이 손을 맞잡고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빅딜을 통한 공동건설 및 운영협약을 체결했다.
이에따라 구리시에는 소각장을, 남양주에는 매립장을 분담 건설하여 상대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쓰레기를 함께 처리하게 된다.
구리시 소각시설은 총사업비 587억원을 들여 1일 200톤 규모로 건설되며 98년 9월에 착공해 현재 약 74%의 공정을 보이고 있어 2001년 9월에 완공될 전망이다.
소각시설을 양 자치단체간 광역으로 건설함에 따라 건설비는 총사업비중 국비 및 도비 지원금과 토지매입비, 주민편익시설설치비를 제외한 시비를 구리시와 남양주시에서 각 50%씩 부담키로 하였으며, 운영비는 반입되는 쓰레기량을 기준으로 각각 분담하도록 했다.
소각장에는 81억원의 예산을 들여 사우나시설을 포함한 실내수영장과 인조잔디로 조성되는 국제규격 축구장, 배드민턴장, 게이트볼장, 롤러스케이트장을 건설해 소각시설이 생활 속의 주민휴식공간으로 자리잡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남양주시 매립장에는 구리시 소각시설에서 발생되는 소각 잔재물과 불연성 폐기물을 매립하게 되며 총 436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2004년까지 건설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주민의 건전한 생활휴식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체육시설의 건설을 검토하고 있으며 매립시설 건설비는 인구에 비례해 남양주시가 70.3%(58만명), 구리시에서 29.7%(24만5,000명)를 부담할 예정이다.
폐기물 처리시설 빅딜 건설로 인해 남양주시는 계획해 온 200톤 규모의 소각장을 건설하지 않을 경우 376억원에 달하는 건설비와 연간 약 30억원의 운영비를 절감하게 됐고 원거리에 위치한 수도권 매립지 이용에 따른 연간 물류비용 약 10억원등 총 416억원이 절감돼 구리시와 남양주시간 폐기물처리시설의 광역화는 지방자치시대에 가장 바람직한 환경행정의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각 지역의 생활권이나 공동 처리시설 건설시 채산성 등에 대한 검토가 선행돼야 하겠지만, 다른 지자체들도 보다 열린 자세로 동참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신상구 구리 풍양신문사 편집국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