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ㆍ주택은행 파업 농성이 어제 공권력 투입으로 일단 해산됐다. 해산 과정에서 별다른 충돌이 없었던 것은 다행한 일이지만, 그렇다고 이번 사태가 해결된 것은 아니다.지금부터가 문제인 것이다. 노조는 파업 지속을 선언한데다 내일부터 은행권 총파업이 예정돼 있어 두 은행의 정상화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들 은행의 파업에서 나타난 극심한 혼란이 말해주듯 앞으로 금융대란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된다. 고객들은 생업에 지장을 받고, 기업들은 파산위기에 까지 몰리고 있다. 그 누구에게도 이익이 되지 않는다.
금융 구조조정은 다른 나라의 경우에서 보듯 우리 경제가 살아 남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다. 세계적 신용 평가기관인 S&P도 두 은행의 합병이 중장기적으로 상호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더욱이 합병은 경영권의 문제이지 노조가 일일이 간섭할 사항은 아닌 것이다. 이번 두 은행 파업 농성이 국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은 이런 맥락에서다.
이 같은 '원론'에 대해서는 노조도 동의할 것으로 생각한다. 노조는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이면서 최대한 실리를 취해야 한다. 두 은행은 소매금융에 기반을 두고 있어 업무가 중복돼 겹치는 인원과 점포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를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문제 해결의 관건이다. 정부는 파업에 가담했던 노조원들이 28일 영업시간 개시 전까지 업무에 복귀하면 불법 파업행위를 불문에 부치겠다고 밝혔다.
노조원들은 희생의 최소화와 고객에 대한 책임 완수라는 측면에서도 일단 복귀해 업무를 정상화 시켜야 한다. 그러면서 최선의 방안을 찾는 협상을 벌여야 한다. '선 복귀, 후 협상'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우리는 판단한다.
이번 파업은 정부의 위기대처 능력에 의문을 던져 주었다. 현실을 모르거나, 실행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방안들을 실효성 있는 대책인양 내놓아 결국 혼란만 가중시켰다. 정부가 반성해야 할 부문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