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관계자들도 공모했을 가능성은 없나요?""그럴 가능성은 없습니다."
"조사를 해보셨습니까?" "아니요." "조사도 안 해보고 어떻게 단언하지요?" "." "조사든 감사든 전체 대학을 모두 뒤질 수 없다면 샘플조사 정도라도 해봐야 하는 것 아닙니까?"
"그건 감사할 사안이 아니라서.." "부정 입학 사례가 얼마나 더 있는지 파악된 것이 있습니까?" "그거야 대학이 알지 내가 어떻게 압니까?"
재외국민 특별전형 부정사건이 확산되고 있는 20일 교육부 관계자는 기자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그는 최근 몇 년간 재외국민 특별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수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번 사건에 대해 교육부가 지금까지 한 일이라곤 '내년 1월말까지 부정 실태를 파악, 조치해서 보고하라'는 공문 한 장 보낸 것이 전부다.
입학전형은 대학 자율로 하는 일이다. 교육부가 이래라 저래라 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된다. 그러나 면접 한 번 보지 않고 서류만으로 합격 여부를 결정하는 제도 자체는 아무리 외국에서 초ㆍ중ㆍ고교를 모두 나온 학생이라도 곤란하다.
일반 학생은 소수점 이하의 수능 점수로 희비가 엇갈리는 상황에서 수학 능력에 대한 최소한의 검증조차 없이 학생을 받는다는 것은 대학측이 지금까지 돈벌이에 급급했다는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이처럼 최소한의 사회적 형평을 깰 수 있는 중요한 사안에 대해 교육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것은 더욱 이해가 가지 않는다.
수능 시험이 너무 쉬워져 온 국민이 한 달 이상 대혼란을 겪고 있는 데 대해서도 교육부는 별 말이 없다. 교육부는 언제까지 그렇게 입만 다물고 있을 것인지 묻고 싶다.
이광일 사회부 차장대우
ki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