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는 지리산이 동쪽으로 내달린 끝자락에 위치해 있다. 이곳 사람들은 지리산에서 흘러온 남강물을 먹고 살며 이 물은 다시 낙동강으로 흘러 부산과 동부경남 주민들의 식수원이 된다.그러나 지난해부터 이곳 진주를 비롯한 서부경남 주민들이 술렁이기 시작했다. `지리산 자락에 몇 개의 댐이 들어선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부터다.
지역 환경단체와 댐예정지 주민들을 중심으로 댐계획 백지화를 요구했다. 정부 주무부처인 건설교통부, 수자원공사가 댐의 용도에 대해 다목적댐, 농업용수댐, 갈수조절댐 등 일관성 없는 답변을 계속함므로써 주민들은 `부산시민을 위한 식수댐일 것'이란 의혹을 강하게 가졌다.
주민들의 1년에 가까운 싸움은 급기야 정부의 공청회를 무산시켰고 “낙동강물이용조사단을 구성해 연구 조사작업을 거쳐 새로운 안을 만들자”는 합의를 이루어냈다. 이에 따라 올해 2월 갈수기반, 취수원다변화반, 오염총량제반으로 구성된 조사단이 결성, 활동에 들어갔고 12월 14일 최종 보고서가 나올 예정이다.
그러나 새만금간척사업과 관련한 최종 보고서가 논란을 빚었듯 낙동강조사단의 보고서가 나온다하더라도 정부와 시민단체, 자치단체와 자치단체간의 마찰은 쉽게 풀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수자원공사 국정감사에서 다시 한번 확인됐다.
공사측은 “물 수요 예측 결과 낙동강수계에 지리산댐을 비롯한 추가 댐 건설이 필수적”이라 밝혔고 이에 각 댐 예정지역주민들은 “절대 불가”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정부의 낙동강 댐 건설 재원이 대폭 삭감됐다”며 부산시와 부산지역 시민단체들이 낙동강특별법 거부 등을 선언하고 있는 것도 큰 부담이다.
이런 가운데 `지리산살리기 국민행동'에서는 지난 달 23일 11명으로 구성된 도보순례단을 결성, 낙동강살리기를 염원하는 순례를 시작했다. 국민행동 공동대표인 수경 스님(남원 실상사)이 단장을 맡고 종교인 예술인 시민운동가 등으로 구성된 순례단은 낙동강의 발원지인 태백산 황지못을 출발해 지금은 안동을 지나고 있다. 그들의 염원은 인위적인 댐이 아니라 강을 살리는 것이다.
지리산댐 계획 백지화운동으로 시작된 진주와 서부경남 주민들의 집회와 시위는 이제 이곳에선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조사단의 조사결과와 정부가 내릴 결정을 인내심을 갖고 기다리고 있다. 이번 일을 계기로 국가의 물관리대책과 자연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지기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하병주
경남 진주신문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