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아시아ㆍ유럽 정상회의(Asia-Europe MeetingㆍASEM)가 20일부터 21일까지 `새 천년 번영과 안정의 동반자 관계'를 내걸고 서울에서 열려 아시아와 유럽 간 상호 이익을 추구하는 협력관계 구축을 논의한다. 서울 정상회의에는 아시아 10개국, 유럽 15개국의 정상과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참석하며, 각국 대표단ㆍ기자단ㆍ경제인 등을 포함해 3,00여명이 방한한다.ASEM 정상회의는 세계 3대 경제권의 두 중심을 연결하는 동아시아와 유럽 간의 동반자 관계 구축을 다짐하면서 1996년 3월 방콕에서 출범했다. 1998년 4월 제2차 런던 정상회의에서는 1997년 하반기부터 아시아 국가들에 불어 닥친 금융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가 주된 내용이었다. 그 결과, 금융위기 극복을 지원하기 위해 ASEM 신탁기금이 설치되고 아시아 국가들에 고위 투자 사절단을 파견하는 등 ASEM은 지역국가들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실질적인 협력 프로세스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새로운 천년과 21세기를 여는 역사적인 시점에서 개최되는 서울 정상회의는 과거 두 차례의? ASEM 정상회의 결과를 토대로 장래 ASEM의 비전과 발전 방향을 정립하고 아시아와 유럽의 실질적 동반자 관계를 진전시키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식 정보화와 세계화의 추세에 부응하면서도 이들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포함, 군축ㆍ환경ㆍ마약ㆍ초국가적 범죄ㆍ아동ㆍ복지 등 범 세계적 문제에 대하여 과거 어느 회의 때보다 활발한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ASEM에 대한 점증하는 기대 속에 서울 정상회의에서는 `2000 아시아ㆍ유럽 협력체제' `의장 성명서' `한반도 평화에 관한 서울 선언' 등 3개의 주요 합의문서를 채택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의 ASEM사업에 더해 신규 협력사업도 승인할 예정이다. 승인 대상 사업 중에는 우리가 제안한 `트랜스 유라시아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 `정보 격차(Digital Divide) 해소' `ASEM 장학기금 조성과 서울 사무국 개설' 등의 사업이 포함돼 우리나라는 아시아와 유럽간 경제ㆍ사회ㆍ문화적 협력 구축의 중추적 역할을 맡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건국 이래 최대의 다자간 외교행사인 이번 ASEM 정상회의의 개최국이자 의장국으로서 성공적 개최에 거는 기대가 매우 크다.
첫째, 우리는 아시아와 유럽의 여러 정상들이 동시에 서울을 방문, 신장된 국력과 발전된 모습을 직접 목격하게 되면 국가 이미지와 위상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의장국으로서 아시아와 유럽간 협력과 발전의 교량 역할을 원만히 수행하면서 우리 외교의 역량을 더욱 고양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정상회의 기회에 우리의 금융위기 극복 과정에서의 경제개혁 노력과 현재의 경제상황을 알려 대외 신인?도를 한층 제고시킴으로써 경제적 활력을 되찾은 우리 경제의 재도약을 촉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남북 정상회담 및 `6ㆍ15 남북 공동선언' 이후의 남북한 교류ㆍ협력 진전 상황을 직접 설명하고 `한반도 평화에 관한 서울선언' 채택을 통해 남북간 화해ㆍ협력과 한반도 평화 과정의 본격 진입에 대한 국제사회의 확고한 지지가 재확인될 것이다.
아울러, 컨벤션센터 및 호텔 운영 노하우의 축적, 국제회의 지원인력의 육성으로 국제회의 산업 및 유관 분야의 발전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각종 문화행사 개최를 통해 우리의 전통문화를 소개하고 `2001 한국 방문의 해' 및 `2002 월드컵 개최' 등을 연계 홍보함으로써 부가적인 효과가 수반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GDP 규모와 교역 규모면에서 세계 제 13위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남북 분단의 어려움 속에서도 국제무대 및 지역협력에 있어서 선도적 외교를 펼쳐 왔다. 특히, ASEM 발족과 더불어 더욱 강화된 외교의 다변화ㆍ다원화, EU 및 ASEM과의 협력 강화, 주요 외교정책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ㆍ협력 확보 등은 이러한 선도적 외교의 핵심 요소들이다. 우리는 이제 아시아ㆍ태평양지역을 포괄하는 경제협력체인 APEC와 함께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ASEM을 우리나라 지역 협력 외교의 양대 축으로 삼아 이를 더욱 활용해 나가야 될 것이다.
/이정빈 외교통상부 장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